[더팩트 | 김해인 기자] 미국 의회가 중국을 겨냥해 추진하던 생물보안법의 연내 통과가 결국 불발됐다. 반사 수혜를 기대하고 있던 국내 CDMO(위탁개발생산) 업계는 '회사 본연의 가치 성장'에 주력한다는 입장이다.
20일 한국바이오협회와 블룸버그 등 외신에 따르면 생물보안법안이 국방수권법안(NDAA)에 이어 예산지속결의안에도 포함되지 못해 연내 통과가 불가능해졌다.
앞서 생물보안법안은 올해 미국 공화당 및 민주당의 지지를 받으며 통과 가능성이 높다고 점쳐져 왔다. 하지만 민주당의 짐 맥거번 하원의원(매사추세츠주)과 공화당 랜드 폴(켄터키주) 상원의원 등의 반대에 부딪히며 제동이 걸렸다.
중국 기업들도 적극 방어에 나섰다. 법안에 규제 대상으로 지명된 중국 CDMO 기업인 우시앱택, 우시바이오로직스, 컴플리트지노믹스 등은 외부 전문로비기관을 통해 적극적으로 법안 통과를 저지했다.
결국 생물보안법은 내년에 연장전에 들어갈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올해 법안을 반대했던 랜드 폴 의원이 내년 상원 국토안보위원회 위원장이 되며 여정은 험난할 것이란 전망이다. 다시 입법 절차를 거치더라도 규제대상기업 지정 및 해제 절차 등 논란이 됐던 조항 수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법안이 통과되면 국내 CDMO 기업들의 수혜가 예상됐던 만큼 바이오업계의 아쉬움도 크다. 현재 삼성바이오로직스, 에스티팜, 보령, 셀트리온, 유한양행, 한미약품 등이 CDMO 시장에 진출했다.
다만 업계는 법안이 통과되지 않았음에도 당장 타격이 발생하진 않을 것이라는 입장이다. 법안에 의존하기보다는 회사 가치를 성장시키는 데 주력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법안이 통과되면 좋았겠지만 구체적인 규제 내용이 명시되지 않았다"며 "원료부터 중국산을 쓰지 말아야 하는지 아니면 임상부터 규제되는지 나오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지금 법안 통과 여부에 따라 당장 매출에 큰 영향은 없고 법이 시행되더라도 긴 호흡으로 봐야 한다"며 "생물보안법을 따라가기 보다는 회사 본연의 가치를 성장하도록 배경을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도 "단기적으로는 바이오 기업들이 눈치를 보긴 할 것이지만 저희한테 직접적으로 영향이 있진 않다"며 "기존에 하던대로 사업을 잘 진행하겠다"고 말했다.
셀트리온의 CDMO 자회사인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도 자신만의 노하우를 바탕으로 사업에 돌입했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은 지난 17일 CDMO 법인 출범 기자간담회에서 "생물보안법 때문에 이 사업을 시작한 게 아니다"며 "셀트리온바이오솔루션스는 기존 중국 업체들과는 다른 사업을 하겠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hi@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