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사 '자금조달' 숨통 트였지만...내수 불황 전망에 '울상'


여전채 금리 하락에도 탄핵 정국 등 '내수 침체' 분위기 확산
6개월 무이자 할부 확대 등 소비진작 추진

지난 14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대로에 많은 시민들이 모여 집회에 참가하고 있다. /박헌우 기자

[더팩트 | 김태환 기자] 기준금리 인하로 카드사들의 자금조달 비용이 줄어들었지만 내수 불황 전망에 울상을 짓고 있다. 비상 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에 더불어 지속되는 경기침체 우려로 결제 부문에서의 수익이 급격히 감소할 것이란 우려다. 일부 카드사들은 6개월 무이자 할부를 확대하는 등 소비 진작을 위한 대응에 나섰다.

17일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여전채 금리의 기준지표인 금융채 2 AA+ 등급 3년물 금리는 13일 기준 3.109%로 3% 초반대를 지속하고 있다. 해당 채권의 금리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3.9%대를 기록했다.

여전채 금리 하락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하가 반영된 결과다. 한국은행은 지난 10월 11일 3년 2개월 만에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해 연 3.50%에서 연 3.25%로 조정했고, 지난 11월 28일 추가로 0.25%포인트를 인하해 현재 기준금리는 연 3.00%다.

여전채 금리 하락은 카드사들의 자금 조달비용을 낮추는 효과가 나타난다. 카드사는 은행과 달리 예금을 받는 기능이 없기에 여전채 발행을 통해 영업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데, 이 과정에서 드는 이자 비용이 줄어들게 된다.

문제는 최근 한국 소비시장이 크게 위축됐다는데 있다. 한국은행이 발표한 올해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0.7을 기록, 전달(101.7) 대비 1.0포인트 낮아졌다. 소비자심리지수는 기준점 100을 넘어설 경우 소비 심리가 낙관적임을, 100 이하일 경우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여기에 비상계엄 사태와 탄핵 정국으로 인해 소비심리가 더욱 위축될 것이란 전망도 제기된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가 불거졌던 지난 2016년 10월부터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 소추안이 가결될 떄까지 6개월간 소비심리가 급격히 하락한 전례가 있다.

지난 2016년 10월 102였던 소비자심리지수는 11월 95.7까지 떨어지고, 탄핵 소추안이 가결된 12월에는 94.1, 2017년 1월에는 93.3까지 떨어졌다. 이후 소비자심리지수는 헌법재판소가 박 전 대통령의 탄핵을 선고한 3월까지도 기준점인 100을 밑돌았다.

올해 3분기 카드사들의 실적은 선방했지만 '불황형 흑자'라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여신금융협회 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말 38조원 수준이었던 9개 카드사(신한·삼성·현대·KB국민·우리·하나·롯데·NH농협카드)의 카드론 잔액은 6월말 40조6059억원으로 늘었고, 9월 말 기준 41조6870억원으로 증가했다.

이 때문에 카드사들은 최근 최대 2~3개월 기간동안 제동하던 무이자 할부 혜택을 최대 6개월까지 늘리고 있다.

우리카드와 비씨카드는 연말까지 백화점, 온라인쇼핑, 면세점, 여행·항공 분야 등에 2~6개월 무이자 할부 행사를 시작했다. 신한카드도 같은 업종에서 2~5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하며 삼성카드와 KB국민카드는 백화점 업종에서 2~5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시작했다. 또 삼성카드는 종합·일반병원과 동물병원에서 2~5개월, 신한·KB국민·현대카드는 2~3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제공한다.

카드사 관계자는 "카드론 등 대출 증가로 실적은 개선됐지만 건전성 부담도 함께 커지고, 특히 금융당국에서 가계부채 증가에 따른 대책을 내놓으며 카드론 규제를 강화한다면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할 것"이라며 "할부 금융의 경우 카드론보다 소비자 부담이 상대적으로 적기에 (지금처럼) 여전채 금리가 낮을 때 많이 늘리면 카드사의 장기적인 수익원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imthin@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