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 재배지 11% 줄인다…쌀 생산 줄이고 품질 고급화


내년 벼 재배면적 조정제 도입 8만㏊ 감축

지난달 3일 오후 충북 청주 벼 수확 현장을 방문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농업인단체와 대화하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

[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정부가 쌀 과잉 생산과 산지 쌀값 하락을 막기 위해 내년 벼 재배면적 8만㏊를 감축한다. 고품질 품종 중심으로 생산·소비구조를 전환하고, 민간 신곡을 쓰는 기업에는 지금 지원 시 우대한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쌀 공급 과잉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쌀 산업 구조개혁 대책'(2025∼2029년)을 12일 발표했다.

쌀 산업은 생산보다 소비 감소율이 더 큰 구조적 공급과잉 상태이다. 정부는 2005년 이후 열두 차례에 걸쳐 쌀을 사들였으나, 소비가 빠르게 줄면서 쌀 공급 과잉과 산지 쌀값 불안 문제는 되풀이되고 있다.

벼 재배면적 8만㏊ 감축을 목표로 내년부터 '벼 재배면적 조정제'를 시행한다. 8만㏊는 올해 벼 재배면적 69만8000㏊의 11%에 해당하는 면적이다.

시도별로 감축 면적을 배정하고, 농가에서 농지에 다른 작물을 심는 방식으로 줄이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벼 재배 면적을 감축한 농가에는 공공비축미 매입 등에서 인센티브(혜택)를 주고, 조정제에 참여하지 않은 농가는 공공비축미 매입 대상에서 제외한다.

또 벼 대신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농가를 지원하기 위한 '전략작물직불제' 예산을 올해 1865억원에서 내년 2440억원으로 확대했다.

재배 면적 감축 상황을 점검하기 위해 시도별 현장지원단을 운영하는 한편 위성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 농가 간 감축 면적 거래 등의 방식을 발굴하기로 했다.

고품질 품종 중심으로 생산·소비구조를 전환한다. 고품질 쌀 전문 생산단지를 내년 시도별로 한 곳씩 시범 운영하고, 2029년 두 곳씩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 보급종은 소비자 선호 품종 중심으로 개편한다. 맛과 향이 뛰어난 최우수 품종 약 15개를 새로 선정하고, 선호 품종 비율을 오는 2029년까지 90%로 확대한다. 다수확 품종은 오는 2027년부터 공공 비축, 정부 보급종에서 제외한다.

친환경 벼 재배면적은 2029년 6만8000㏊로 확대하고, 친환경 벼 공공비축미 매입 가격을 인상하기로 했다.

일반 벼에서 친환경 벼로 전환 시 공공비축미로 전량(최대 15만톤) 매입한다.

고품질 쌀 생산·유통을 위해 양곡표시제를 개편한다. 단백질 함량 표시를 의무 사항으로 변경하고, 쌀 등급 기준을 강화한다.

쌀 소비 촉진을 위해서는 내년부터 전통주 주세 감면 구간을 확대하고, 지역 특산주 주원료 기준을 완화한다.

정부 양곡을 쓰던 식품기업이 민간 신곡을 쓰면 정책자금 지원 대상에서 우대한다.

식품기업·미곡종합처리장(RPC)과 연계한 수출·가공용 생산단지를 시범적으로 구축하고 가공밥류 정부 양곡 공급은 단계적으로 제한한다.

쌀 가공식품 수출을 올해 10만톤에서 2029년 18만톤으로 늘리기 위해 주요 수출국에 홍보관을 신설하고 온라인 기업간거래(B2B) 판매관을 확대한다.

산지유통 경쟁력도 강화한다. 고품질 쌀 유통 RPC를 지정하고 생산부터 가공까지 이력을 관리하는 생산이력제를 시범 추진하기로 했다.

정부 지원 RPC의 단일 품종·고품질 쌀 매입을 유도해 혼합미 비율을 지난해 42% 수준에서 오는 2029년 10%로 낮춘다. RPC의 경영 투명성을 강화하기 위해 회계 정보 공시, 경영계획서 제출 의무화 등을 추진하고 저가 판매 등 시장교란 행위를 제재한다.

고품질 쌀 생산과 전략작물 전환을 위한 생산기술 R&D를 추진한다. 쌀 적정생산을 위한 비료 저감 기술을 개발하고, 지역별로 전략작물 이모작 모델을 개발한다.

최명철 농식품부 식량정책관은 "쌀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고 쌀값 안정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정책 과제를 차질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pepe@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