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당선] 전기차·철강 부문 '관세 폭탄' 우려


미국 우선주의 정책 강력 추진…추가 관세 부과 등 무역 장벽 강화 전망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자동차, 철강 부문에서의 무역 장벽 리스크가 커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수출 전용부두에서 완성차들이 선적을 기다리고 있는 모습. /현대자동차

[더팩트 | 김태환 기자] 제47대 미국 대통령 선거에서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당선되면서 한국 산업계가 무역 장벽 리스크에 노출될 가능성이 커졌다. 트럼프 당선인이 강력한 미국 우선주의 정책을 고수하면서 한국의 자동차·철강 부문 수출에 대한 관세를 부과해 가격 경쟁력이 악화될 우려가 제기된다. 다만 조선의 경우 친환경 에너지에서 화석 연료 중심으로 정책이 전환돼 화석 연료를 운반하는 선박 수요가 확대되고, 방산 부문도 꾸준한 수요 증가로 인해 영향이 적을 것으로 전망된다.

7일 CNN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지난 5일 치러진 미 대선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경합주를 사실상 싹쓸이하면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했다. 민주당 대선 후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은 "선거 결과를 받아들여야 한다"며 패배를 인정했다.

미국의 45대 대통령을 지낸 트럼프의 재집권으로 가장 큰 타격이 예상되는 부문은 자동차다.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Make America Great Again)"라는 표어를 내세우는 만큼 보호 무역이 강화될 것이란 우려 떄문이다.

특히 한국 전체 자동차 수출에서 미국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국무역협회 수출입 통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4월까지 미국에 수출한 자동차는 123억4500만달러로 전체 자동차 수출액(243억2100만달러)에서 미국 비중은 50.8%로 집계됐다.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지난해 총 165만대(22.8%)를 미국에 수출했으며, 미국 시장 판매 차량의 국내 생산 비중은 지난해 9월 누적 기준으로 현대차가 65%, 기아가 52%로 집계된다. 트럼프 당선인이 공약대로 관세를 부과한다면 현대차·기아의 경우 절반 이상의 물량에 대해 관세가 부과되는 셈이다.

조희승 iM증권 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 정권이 자동차 부문에 관세 10~20%를 부과할 경우(생산자가 전부 부담한다는 가정하에) 현대차와 기아에게는 각각 월 2000억~4000억원, 1000억~2000억원의 부담이 발생할 것으로 추산했다.

전기차 등 친환경 차량 혜택 축소되는 것도 한국 자동차업계에 부담이 될 전망이다. 최근 현대차와 기아는 전기차 라인업을 늘리고 글로벌 전기차 생산 인프라를 확장하는 등 전동화 전략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실제 현대차그룹은 미국 조지아 공장(HMGMA)을 지난 10월 3일부터 가동하기 시작했는데, 이는 미국에서 생산하는 전기차에 대해 대당 보조금 7500달러를 지원하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을 지원받기 위한 전략이었다. 트럼프 당선 이후 IRA 보조금을 축소하거나 폐지한다면 미국에서 생산한 전기차라도 지원금을 받기 어려워지게 된다.

다만 트럼프의 친환경차 혜택 축소가 국내 자동차업계에 큰 부담이 되지는 않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전기차를 주력으로 삼고 있지만, 기존 내연기관차와 하이브리드차에 대한 경쟁력도 충분하기 때문이다.

김경유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의 환경 정책 후퇴로 전기차로의 전환이 상당 기간 늦추어지면서 우리 기업의 전기차 판매가 위축되겠지만, 하이브리드 자동차 등도 우리가 경쟁력을 보유하고 있어 수출이나 판매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당선인이 철강 부문에 관세를 부과할 가능성이 높아 철강업계가 미국 수출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제철

철강 부문에서도 규제가 확대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은 중국산 철강 수입품에 대한 60% 이상의 징벌적 관세를 부과하고, 모든 수입품에 대해선 10~20%의 보편관세를 전면적으로 부과한다고 선언했다.

특히 트럼프 당선인은 45대 대통령 재임 시절 모든 수입 철강재에 추가 관세를 부과해 자국 철강산업을 보호하는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25% 관세를 부과하기도 했다. 당시 한국 정부는 협상에 나서 2015년부터 2017년까지 25% 관세 부과를 면제받는 대신 수출량을 3년 평균 수출량의 70%로 제한하는 '절대 쿼터제'에 합의한 바 있다.

반면 조선 부문은 화석 연료 중심의 트럼프 에너지 정책에 대한 수혜가 기대된다. 트럼프는 이전 바이든 정부가 추진한 녹색 전환 정책을 폐기하고 석유·석탄·천연가스 등 화석 연료 중심으로 에너지 정책 변화를 추진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미국 내 액화천연가스(LNG), 액화석유가스(LPG) 수요와 수출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

이와 관련해 LNG, LPG 운반선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한국 조선사들에 수주 물량이 몰릴 것이란 관측이다. 실제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국가별 LNG 수주 잔량은 한국이 전 세계에서 71%를 차지하며 2위 중국(27%)을 크게 앞서고 있다. 올해 한국은 45척의 LNG운반선을 수주했으며, 중국은 8척, 러시아는 3척에 불과하다.

방위산업도 수혜가 기대된다. 트럼프는 동맹국과의 안보 협력보다는 자국 중심의 방위산업 공급망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기존 미국 동맹국들이 자주국방을 위한 국방력 강화로 이어지고, 방산 수출이 확대로 이어질 수 있다는 분석이 나다. 실제 트럼프 당선인은 NATO 동맹국의 방위비 지출을 GDP 대비 2%에서 3%로 인상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삼정KPMG 경제연구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과 국내 산업 영향' 보고서를 통해 "트럼프의 방산 자국 우선주의는 글로벌 자주국방 강화 추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면서 "지정학적 리스크가 확대된 국가들은 자체적인 방어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방위비를 증액할 것이며, 이는 한국 기업의 방산 수출에 기회가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kimthin@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