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I저축은행, 주담대 영업 드라이브…'수익·건전성' 잡을까


주담대 금리 최고 2.1%포인트 인하…SBI "고객 이자 부담 경감"
대출 포트폴리오 안정화 전략 통할지 관심

자산규모 1위인 SBI저축은행이 최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인하하면서 영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선영 기자] SBI저축은행이 최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금리를 인하하면서 영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저축은행업계 자산규모 1위인 SBI저축은행은 올해 첫 분기 손실을 내면서 연내 흑자 달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저축은행 업황이 여전히 좋지 않은 가운데 연체율 등 건전성은 해결해야 하는 과제로 남아있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최근 SBI저축은행은 주담대 금리를 최고 2.1%포인트 인하했다. 인하된 금리에 따라 사업자 고객은 5.54~14.95%, 개인 고객은 5.54~11.95%의 금리로 주담대를 받을 수 있다. 금리 하단이 5%대가 되면서 타 저축은행 대비 금리 경쟁력을 확보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일반적으로 대출 금리는 기준 금리와 가산 금리를 통해 결정된다. 기준금리는 국가가 정하는 정책 금리이며, 개별 금융사가 임의로 개입할 수 없는 영역이다. 주담대는 보통 기준금리로 COFIX를 따르는데 이는 국내 은행들이 조달한 자금의 가중평균금리로 계산된다. 가중평균금리는 금융 상품의 금리를 금액의 비중으로 가중치를 둬 평균화한 금리를 뜻한다.

반면 가산금리는 고객의 신용점수, 이자 마진율 등에 따라 금융사별로 유연하게 조정하는 금리다. SBI저축은행은 이 가산금리 조정을 통해 주담대의 전체 금리를 하향시켰다.

SBI저축은행에 따르면 이번 주담대 금리 인하는 고객의 이자 부담을 경감하고 대출 포트폴리오 안정화를 꾀하려는 전략이란 설명이다.

SBI저축은행 관계자는 "전 세계적으로 장기화되는 고금리 여파로 모두가 힘든 상황에서 이자 경감을 바탕으로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고 싶었다"며 "앞으로도 고객과 기업이 함께 상생할 수 있는 바람직한 금융 환경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업계에선 업황이 어려운 상황에서 SBI저축은행의 대출 포트폴리오 안정화 전략이 통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더팩트 DB

이에 업계에선 업황이 어려운 상황에서 SBI저축은행의 대출 포트폴리오 안정화 전략이 통할지에 관심이 쏠린다.

SBI저축은행은 연내 흑자 달성이 절실한 상황이다. 저축은행업계 자산규모 1위인 SBI저축은행은 올해 첫 분기 손실을 냈다. SBI저축은행은 지난해 1분기 37억원 순이익에서 올 1분기 64억원 순손실로 적자 전환했다. 지난해 모든 분기 순이익을 냈으나 올해 첫 분기 손실을 기록했다.

부실자산 등 리스크에 대비해 선제적으로 충당금을 쌓은 탓이다. SBI저축은행이 올해 1분기 쌓은 충당금은 6427억원 수준으로 지난해 1분기 6008억원보다 400억원가량 늘었다.

저축은행 업계도 지난해 1분기부터 현재까지 줄곧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올 1분기 전국 79개 저축은행은 총 154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냈다. 지난해 1분기 527억원 순손실 대비 3배 가까이(192.8%) 급증했다.

업계에선 주담대의 경우 단위가 크고 상품 가입기간이 길어 높은 수익성을 기대할 수 있는 상품이라고 보고 있다. 건전성, 수익성의 돌파구가 필요한 상황에서 실적 개선으로 이어질 수 있단 분석도 따른다.

저축은행 관계자는 "주담대가 담보대출이다 보니 담보가 없는 신용대출보다 안전하다고 판단된다"며 "안전자산 확보에 집중하고 있는 현 저축은행 상황에서 할 수 있는 움직임이지 않을까 한다. 담보대출이다보니 건전성 관리도 무담보보다는 나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올해 SBI저축은행이 수익성과 건전성을 모두 확보해 나갈지도 주목된다.

SBI저축은행의 올해 1분기 말 기준 연체율은 5.59%로 지난해 말(4.91%)보다 0.68%포인트 올랐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건설업·부동산업 등 부동산 관련 연체율은 지난해 말 2.85%에서 올해 1분기 말 4.63%로 1.78%포인트 상승했다. 고정이하여신비율은 1.05%포인트 오른 6.97%를 기록했다. 다만,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은 지난해까지 15%였지만 올해 1분기 15.43%로 끌어 올렸다.

seonyeong@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