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할 수 없으면 즐겨라. 2004년 거론된 ESG(환경·사회·지배구조)는 이제 선택이 아닌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가 됐다. 기업들은 제도 정비와 투자로 ESG 정면 돌파에 나섰다. ESG 공시 의무화를 앞둔 만큼 ESG의 날갯짓이 태풍을 몰고 왔다는 평가다. 이 태풍 속 ESG 주도권을 쥐고 선도하는 곳은 어디일까. 아울러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디인가. <더팩트>가 ESG 현주소를 진단한다. <편집자주>
[더팩트|우지수 기자] 정부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규제와 공시 등 요구가 구체화되는 가운데 중소기업계 움직임이 주목된다. 한국에서는 대규모 상장기업에게 그 의무가 먼저 부과될 예정이므로 중소기업의 ESG 공시는 아직 급하지 않은 편이다. 하지만 대기업의 ESG 공시 과정에서 협력 중소기업의 탄소배출 등 관련 지표를 요구받고 있기 때문에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지난달 30일 한국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KSSB)가 발표한 지속가능성 공시기준 초안에 따르면 오는 2026년부터 대규모 상장기업의 ESG 공시 의무화를 시작으로 2030년에는 코스피 모든 상장기업까지 그 범위가 확대된다.
당분간 중소기업에게 자체 ESG 공시가 요구되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해서 ESG 경영에 신경쓰지 않는다면 대기업과의 협력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대기업 공시에는 자회사나 협력업체 관계에 있는 기업의 ESG 성과까지 통합해 공시해야 하기 때문이다.
금융권 대출 등 중소기업이 금융서비스를 원활히 받기 위해서도 ESG 경영이 필요하다. 금융기관의 ESG 공시에는 '금융배출량(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간접적 탄소 배출량)'이 공시되며 금융서비스를 받은 중소기업의 탄소 배출 지표가 포함된다. ESG 공시는 회사 비재무적 경영의 개선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수단인데, 공시에 포함되는 협력·고객사가 ESG 기준을 충족하지 못한다면 불이익을 받을 수 있다.
이에 더해 유럽연합(EU)이 도입하는 '탄소국경세'는 중소기업의 수출에 부담이 된다. EU는 오는 2026년부터 철강·알루미늄·비료·전기·시멘트·수소제품 등 6개 품목을 생산하는 기업에게 제품 생산 과정의 탄소 배출량에 따라 관세를 부과한다. 생산 산업군 중소기업의 수출길도 ESG 경영에 달린 셈이다.
◆ ESG 경영 필요하지만 제한 많아…정부 차원에서 도와야
중소기업계는 ESG 경영 필요성을 실감하고 있지만 본격 도입에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본과 인력, 정보 등이 대기업, 중견기업에 비해 부족해 ESG 경영에 당장 뛰어들기에는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업계는 관련 협의체를 마련하고 정부에게 지원 정책을 요구하는 등 ESG 발전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데이터 정보 제공기업 휴텐이 지난해 8월 중소기업 대표 18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90% 이상이 ESG 경영에 '관심 있다'고 대답했다. 높은 관심에도 중소기업의 ESG 경영 도입이 어려운 이유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중소기업계 ESG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는 반응이 46.7%로 가장 많았고 이어 복수 선택으로 △정보 부족(43.3%) △투자예산 부족(42.2%) △경영진 관심 부족(41.1%) △직원들의 관심 부족(38.9%)이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계는 ESG 경영 실천을 위한 정부 지원책을 요구하고 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해 6월 중소기업 탄소중립·ESG위원회를 발족하고 지난달 30일 1차 회의를 열었다. 회의에서는 협력 대기업의 ESG 경영 관리, EU의 탄소국경세 등에 대한 중소기업의 대응방안 등을 논의했다. 특히 중소기업계는 원청기업이 하청기업에게 ESG 경영 책임을 전가할 가능성에 대해 우려 중이다.
이상훈 중소기업 탄소중립·ESG위원장은 "상장사 대·중견기업의 75%가 공급망 ESG 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협력사에 포함되는 중소기업의 대책마련이 시급하다"며 "하청 기업 ESG 경쟁력이 대·중견 원청기업 경쟁력으로 이어지는 만큼 대·중견기업의 장비 지원, 인증 취득 등 실질적 지원과 정부 부처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정부 부처가 중소기업계의 부담감을 덜고 ESG 경영을 단계별로 도와야 한다고 조언했다. ESG 공시 의무화보다 EU 탄소배출 기준을 충족하는 등 시급한 사항부터 해결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황용식 세종대 경영학부 교수는 "ESG 공시는 비재무적 지표를 공개하고 해외 투자자들이 국내 기업에 투자할 수 있도록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 목표다. 중소기업은 인력과 자본이 부족해 부담을 느끼고 있다"며 "중소기업에까지 무리하게 ESG 공시 정책을 펴면 허위 공시 등 잘못된 사례가 나올 수 있다. 유럽 수출 제한 등 대응이 급한 ESG 과제부터 해결해야 한다. 공시는 그 다음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부 지원 정책이 중요하다. 교육, 지표 개발 등 기본적인 사항부터 산업별로 필요한 지표만 관리할 수 있는 간소화 탬플릿을 제작해 배포하면 중소기업의 ESG 경영 진입장벽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ESG가 미래다①] 환경·사회·지배구조는 왜 기업 평가 기준이 됐나
▶[ESG가 미래다②] 한국 기업, 지속가능경영 평가서 꼴찌···성장 발판 요건은?
▶[ESG가 미래다③] 늦을수록 경쟁력 약화?···韓 'ESG 공시 의무화' 현주소는
▶[알립니다] 'ESG가 미래다'···6월 27일 <더팩트> ESG 경영대상 개최
▶[ESG 인터뷰<상>] 이한성 원장 "올바른 ESG경영, 사람에 대한 인식 변화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