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최문정 기자] 일본 정부가 네이버에 메신저 서비스 '라인'의 지분을 줄일 것을 거듭 요구하고 있다. 현재 라인 서비스를 네이버와 일본 소프트뱅크의 합작 기업이 운영하는 것을 고려하면, 향후 경영권 문제로도 번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이런 가운데 라인을 중심으로 한 네이버의 해외 사업 전략에 타격이 생길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은 최근 두 차례의 행정 지도를 통해 네이버의 라인야후 지분 축소를 요구하고 있다.
이번 사태는 지난해 11월 발생한 라인 이용자 개인정보 유출이 빌미가 됐다. 라인 운영사 라인야후와 네이버가 공동으로 사용하고 있는 업무 시스템이 사이버 공격을 받으면서 고객 정보 유출로 이어졌다. 일본 정부는 자국의 '국민 메신저' 라인이 한국 기업인 네이버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구조를 비판하며 소프트뱅크 측에 지분 관여를 강화할 것을 요구하고 있는 셈이다.
네이버는 2011년 6월 일본에서 메신저 서비스 라인을 출시했다. 같은 해 3월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 상황에서 문자 메시지와 전화 등이 먹통이 돼 불편함을 겪은 것에서 착안해 재빠르게 서비스를 준비해 공개했다. 라인은 단숨에 일본의 국민 메신저 지위에 올랐다. 출시 5년 만에 누적 이용자 10만명을 돌파했고, 현재는 일본인 9600만명이 이용하는 서비스로 자리 잡았다.
네이버는 라인의 일본 시장 성공을 바탕으로 현지의 주요 IT 기업인 소프트뱅크와 협력에 나섰다. 2021년 네이버와 소프트뱅크는 각각 50%씩 출자해 합작법인 'A홀딩스'를 설립했다. 초기 의장은 이해진 네이버 창업자 겸 글로벌투자책임자(GIO)가 맡았다.
A홀딩스 산하에 라인과 야후 재팬 등을 운영하는 'Z홀딩스'를 뒀다. 2023년 10월에는 라인과 야후 재팬, Z홀딩스의 기타 서비스를 합병한 새로운 법인 '라인야후'가 출범했다. A홀딩스는 라인야후 지분의 64.4%를 보유하고 있다. 네이버는 A홀딩스를 통해 라인야후에 대한 지배력을 유지하고 있는 셈이다.
현재 네이버와 소프트뱅크가 A홀딩스 지분을 동일하게 나눠가진 상황에, 일본 정부의 요구를 반영할 경우, 네이버가 A홀딩스에 대한 지배력을 잃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소프트뱅크는 현재 네이버의 A홀딩스 주식을 추가 매입할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놓은 상황이다.
네이버는 이번 사태가 단기적인 매출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판단하고 있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 3일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A홀딩스 특히 라인야후에는 네이버가 기술적 파트너로 역할해 왔다. 기술 파트너로 제공했던 인프라는 별도로 분리해 진행할 예정으로 이 부분에서 매출에 영향이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문제는 라인이 단순히 일본 내 인기 있는 메신저를 넘어 동남아시아 등 네이버의 해외 사업의 핵심이라는 점이다. 라인의 월간활성이용자(MAU)는 일본 9600만명, 태국 5500만명, 대만 2200만명, 인도네시아 600만명 등이다. 메신저 서비스 라인을 토대로 간편결제 서비스 '라인페이'와 블록체인, 이커머스 등 ICT 사업 역시 전개하고 있다.
일본 정부의 압박이 노골적으로 지속되는 가운데, 네이버 역시 난감한 입장이다.
최수연 네이버 대표는 지난 3일 1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일본 총무성 행정지도 관련 자본 지배력 줄일 것을 요구한 자체가 이례적"이라고 당혹감을 나타냈다.
최 대표는 "(일본의 행정지도는) 따를지 말지의 결정이 아니라 중장기적인 사업 전략에 기반해 결정할 것으로 내부 검토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을 아꼈다.
일본 정부가 적극적으로 나서는 만큼, 한국 정부 역시 적극 대응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제시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달 29일 입장문을 통해 "일본 총무성이 라인야후에 행정지도를 내린 것은 일본 국민의 개인정보 유출 사고에 따른 후속조치"라면서 "한일 외교관계와는 별개의 사안"이라고 일축했다. 그러면서도 "동향을 주시하며, 필요한 경우 지원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외교부도 지난달 30일 대변인실을 통해 "정부는 네이버 측과 긴밀히 협의하고 있으며 네이버 측의 요청을 전적으로 존중해 협조하고 있다"고 말했다.
munn09@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