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성형AI 생태계 조성 지원"…KIAT, '산업기술정책포럼' 개최


"AI 기반 기업 생존 전략 세워야"
전문 인력 확보, 국제협력 등 지원

지난달 개최된 세계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4 전시장을 찾은 관람객들이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로봇 아메카를 관람하고 있다. /남용희 기자

[더팩트ㅣ최지혜 기자] "생성형AI 산업의 생태계 조성에 막대한 투자가 필요한 만큼 정부 및 유관기관과 관련 지원 방안을 논의해 나가겠습니다."(민병주 KIAT 원장)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26일 오전 포시즌스호텔 서울에서 '제6회 산업기술정책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산업기술정책포럼은 KIAT가 산업기술 진흥에 필요한 정책을 발굴하기 위해 연구기관과 기업 관계자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행사다. 이날 행사는 생성형 인공지능(AI) 산업의 동향을 살펴보고 국내 생성형AI 산업의 경쟁력 강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KIAT는 올해 10대 유망 산업 중 하나로 초거대 생성형AI를 선정했다. 초거대 생성형AI는 초거대AI와 문자, 이미지, 음성을 만들어내는 생성형AI의 합성어다. 인간의 뇌 구조를 모방한 인공 신경망을 여러 겹 쌓아, 복잡한 정보를 학습하고 판단할 수 있는 인공지능이다.

이날 참석한 전문가들은 향후 AI 산업의 생태계 조성을 위해 원천 기술 확보, 전문 인력 양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진단했다.

발제자인 성균관대 최재붕 부총장은 'AI 인류 시대 개막에 따른 산업계 생존 전략'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생성형AI가 사회와 경제에 큰 변화를 가져오면서 모든 자본이 AI 관련 기업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며 "모든 기업들은 AI 기반의 생존 전략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업 사례 발제자로 나선 강성훈 스튜디오랩 대표는 생성형AI와 로봇공학을 기반으로 한 콘텐츠 혁신에 대해 발표했다. 강 대표는 "생성형AI 기술 덕분에 정보 통신 기술을 잘 몰라도 온라인 쇼핑몰 콘텐츠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며 "연관 산업의 성장을 위해 AI 기술을 제공하는 공급 기업과 수요 기업 간 연결, 해외 진출 등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실제로 국내 생성형AI의 기술적 역량은 선도국과 격차가 큰 상황이다. 지난 2018년부터 2022년 생성형AI 분야 발표 논문 수는 중국(1만9318건), 미국(1만1624건), 인도(4058건), 영국(3484건)에 이어 한국(2682건) 순으로 많았다. 중국이 한국의 7배가량, 미국이 4배가량 많다.

이에 KIAT측은 생성형AI 생태계 조성 관련 투자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관련 지원을 약속했다. 민병주 KIAT 원장은 "우리 기업들이 세계 무대에서 역량을 발휘하도록 전문 인력 확보와 국제협력 등을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wisdom@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