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악용 막자"…방통위, 국내·외 플랫폼과 자율규제 강화 방안 논의


네이버·카카오·구글·메타 등 플랫폼 자율규제 현황 점검
이상인 부위원장 "딥페이크 혼란 예방 위해 플랫폼 자정 노력 필수"

방송통신위원회가 국내외 주요 플랫폼 사업자를 모아 딥페이크로 인한 허위 정보 대응 관련 자율규제 강화를 요청했다. /더팩트 DB

[더팩트|최문정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최근 사회 문제로 떠오른 '딥페이크(Deepfake)'로 인한 허위 정보 대응 관련 자율규제 강화를 위해 민관협력 회의를 23일 개최했다.

딥페이크는 인공지능(AI) 기술의 일종으로 '딥러닝'과 가짜·거짓을 뜻하는 '페이크'의 합성어다. AI를 활용해 진위를 구별하기 어렵도록 합성한 이미지나 영상물을 의미한다.

방통위는 이날 최근 딥페이크 기술을 활용한 유명인 관련 허위조작정보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확산되며 실제 사기 피해가 발생하는 등 사회 문제로 대두했다고 진단하고, 사업자가 즉시 실시할 수 있는 피해 예방 대책을 논의하기 위해 자리를 마련했다.

회의에는 국내·글로벌 플랫폼이자 인공지능(AI) 기술 개발사인 네이버, 카카오, 구글, 메타(페이스북·인스타그램 모기업), 엑스(X, 옛 트위터), 바이트댄스(틱톡)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AI 생성물 표시 △탐지 모니터링 △삭제·차단 조치 등과 관련한 자율규제 현황과 강화 방안 등에 대한 논의를 나눴다.

회의를 주재한 이상인 방통위 부위원장은 "딥페이크 허위정보로 인한 개인 피해와 사회적 혼란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플랫폼의 자정 노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특히 올해는 전 세계적으로 큰 선거들도 앞둔 만큼, 더욱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자율규제에 나서달라"고 요청했다.

아울러 이 부위원장은 국내 사업자에게 뮌헨 기술협약 등 글로벌 기업의 자율규제 강화에 상응하는 조치를 요청했다. 뮌헨 협약은 선거 운동 등에 AI가 기만적으로 활용되는 것을 막기 위한 기술 협약으로 지난 16일 구글, 메타, 엑스, 틱톡 등 글로벌 20개 주요 플랫폼·기술 기업이 자발적으로 서명해 발효됐다. 또한 글로벌 사업자에게는 국내 사업자 수준의 신속한 조치에 최선을 다해 줄 것도 당부했다.

munn09@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