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정소양 기자] 홍콩H지수 연계 주가연계증권(ELS) 손실 사태가 눈덩이처럼 커졌다. 수조원의 손실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이며 은행권이 줄줄이 ELS 상품 판매를 중단하고 있는 가운데 이번 홍콩H지수 ELS 손실 사태와 비교적 거리가 먼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이 상반된 대처를 보여 업계의 관심이 쏠린다.
7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이 판매한 홍콩H지수 ELS 상품 중 지난 2일까지 만기가 돌아온 것은 총 761억원어치인데, 이 중 고객이 돌려받은 건 3313억원에 그쳐, 평균 손실률이 53.1%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전체 15조4000억원, 상반기에만 10조2000억원의 홍콩H지수 ELS가 만기 되는데, 현재 흐름이 유지된다면 전체 손실액은 7조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에 따라 은행권은 최근 줄줄이 ELS 상품 판매 중단에 나섰다. 농협은행은 지난해 10월부터, 하나은행은 지난달 29일, KB국민은행은 지난달 30일, 신한은행은 지난 5일부터 ELS 상품 판매를 중단했다.
이러한 가운데 판매 잔액이 적어 비교적 여론에서 자유로운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이 상반된 행보를 보이고 있어 업계의 눈길을 끌었다.
업계에 따르면 현재 손실 우려가 높아진 홍콩H지수 판매액은 은행별로는 KB국민은행이 약 8조원을 팔며 가장 많았고, 신한은행 2조4000억원, NH농협은행 2조2000억원, 하나은행 2조원 등의 순이다.
반면 기업은행과 우리은행의 홍콩H지수 ELS 판매잔액은 상대적으로 적었다. 우리은행은 600억원어치를 팔았으며 현재 400억원가량이 만기를 기다리고 있다. 기업은행의 판매액은 218억원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홍콩H지수 ELS 사태를 대처하는 두 은행의 수장들의 판단은 달랐다. 김성태 기업은행장은 '금융소비자 보호'를, 조병규 우리은행장은 '선택권 보호'를 택한 것이다.
기업은행은 ELS 상품에 대한 판매를 자체적으로 중단한 상태다. 판매 중단은 주요 판매사인 시중은행들이 잇따라 ELS 판매 중단을 결정하기 전인 연초부터다. 판매 재개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다.
판매 금액이 적어 비교적 질타에서 자유롭지만 기업은행 측은 금융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해 ELS 판매를 선제적으로 중단했다는 설명이다.
기업은행 관계자는 "홍콩H지수를 포함한 글로벌 증시 변동성 확대 및 S&P500, nikkei225 지수 등의 최근 10년간 최고점 형성한 점 등을 감안, 금융소비자 보호를 위해 선제적으로 판매 중단했다"고 말했다.
반면 우리은행은 ELS 상품 판매를 지속한다는 입장이다.
상품 판매 관련 내부통제 개선을 통해 홍콩H지수 ELS를 선제적으로 판매 제한했고, 타행 대비 판매 및 손실 규모가 미미한 만큼 금융소비자의 투자상품 선택권 보호 차원에서 판매를 지속한다는 것이다. 다만 우리은행은 현재 금융당국이 투자상품 관련 개선방안을 검토 중에 있는 만큼 결과가 도출되면 그에 맞춰 판매정책을 정비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ELS 등 판매 상품 선정 과정 및 내부 통제 시스템이 엄격하게 작동하고 있다"며 "'비예금상품위원회'에서 홍콩H지수 판매에 대해 5% 제한을 뒀고 결과적으로 타행 대비 적은 판매가 이뤄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기 때문에 ELS 판매를 유지하고있으나 금융당국의 개선방안 도출 결과에 따라 판매정책을 재정비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두 행장의 상반된 결정이 국책은행과 시중은행의 차이에서 비롯된 '책임감'의 경중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국책은행인 기업은행의 경우 금융소비자 보호에 대한 책임 부담이 더 컸을 것이라는 시각이다.
여기에 지난해 상반된 경영 성적표를 받은 점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좋은 성적표를 받은 김성태 행장과 달리 저조한 실적을 받은 조 행장의 부담이 더욱 컸으리란 것이다.
실제 기업은행은 지난해 3분기 누적 연결 기준으로 2조1220억원의 순이익을 거뒀다. 이는 전년 동기 1조9244억원 대비 10.3% 증가한 규모다.
반면 우리은행의 지난해 당기순이익은 2조5160억원으로 전년 2조8920억원 대비 13% 감소했다. 아직 기업은행의 지난해 연간 실적이 나오지 않았지만, 같은 기간으로 살펴봐도 우리은행은 3분기 누적 순이익 2조2989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3.5% 줄어든 규모다.
강형구 금융소비자연맹 부회장은 "판매 잠정 중단은 아직 홍콩H지수 등 불확실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소비자 보호'를 위해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판단으로 보여진다. 또한 불완전판매가 없다고 확신해 판매를 유지하는 것 역시 '소비자 선택권 보호'가 맞다"며 "각 은행 경영진들의 판단이기 때문에 옳다, 그르다고 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강 부회장은 "현재 문제가 되는 것은 상품 판매가 아닌 '불완전 판매'의 여부"라며 "판매사들이 금융소비자들을 보호할 수 있는 상품을 정확히 알고 공급해야 하며, 또한 소비자들이 상품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 제도적으로, 시스템적으로 더 이상 '불완전판매'가 나오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