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수주 날개' 현대엔지니어링, 수주액 86% '현대차'發


지난해 해외 수주 7조 원 이상…과반이 현대차 배터리 공장 신축분

현대엔지니어링의 지난해 해외 수주액의 86%가량은 현대자동차그룹이 발주한 사업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국 배터리 공장 신축 사업이 30억 달러를 차지하면서 한 해 수주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현대엔지니어링

[더팩트ㅣ최지혜 기자] 국내 4위 건설사인 현대엔지니어링이 지난해 해외 수주액을 크게 늘리며 외형을 키웠다. 하지만 이는 현대자동차그룹의 공장 건설에 기댄 결과로 나타났다. 그룹 계열사를 통해 외형을 확대한 것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이 해외건설 시장에서 자력으로 수주한 사업은 전체의 10%대에 불과했다.

22일 현대엔지니어링과 해외건설종합정보시스템 집계에 따르면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해 1~11월 해외에서 총 51억4290만 달러의 수주고를 올렸다. 한화로 약 6조8702억 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전년 동기 27억1540달러와 비교하면 약 189%, 두 배가량 성장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이 쌓은 해외건설 수주의 대부분은 현대자동차그룹 주요 계열사의 자동차 부품이나 배터리를 생산하는 공장을 짓는 사업이다. 현대차그룹발 사업의 수주액은 44억5179만 달러로 전체의 86.5%를 차지했다.

기존 사업에 대한 증액이 아닌 신규로 수주한 사업만 떼어놓고 보면 현대엔지니어링의 현대차그룹 의존도는 훨씬 높아진다. 신규 수주 16건 중 '세인트 찰스 클린 퓨엘 블루 암모니아 기본설계'와 'GTL 아메리카스 파인 블러프 프로젝트 기본설계' 등 2건을 제외하면 모두 그룹사 발주분이다.

특히 미국 배터리 공장 신설 사업이 해외 수주액 증가에 주효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해 '미국 조지아 배터리 공장 신설' 공사 두 건을 수주했다. 두 건의 사업 수주로만 약 30억 달러치 계약을 따냈다. 지난 한 해 수주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금액이다. 현대차그룹이 조 단위 사업을 발주하면서 사실상 현대엔지니어링 해외 수주의 큰손 역할을 한 것이다.

현대자동차그룹이 해외에서 추진하는 배터리와 자동차 생산을 위해 현대엔지니어링에 대규모 사업을 발주했다. /더팩트 DB

현대차그룹은 최근 미국 조지아주를 중심으로 대규모 배터리 공장과 자동차 생산 공장 신설 사업을 쏟아내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이 수주한 사업은 각각 현대차그룹·SK온, 현대차그룹·LG에너지솔루션이 합작법인(JV)을 설립해 발주했다. 수주액은 17억5000만 달러(약 2조3000억 원), 12억 달러(약 1조6000억 원)로 총 29억5000만 달러에 달한다.

이외에 그룹사의 해외 법인이나 자동차 부품을 만드는 계열사들의 공장 신축공사 등이 많았다. 주로 미국, 중국, 인도 등에서 계약됐다. 신규 차종 생산을 위해 공장 증축이 이뤄지면서 그룹사 내부 수주가 필연적으로 나오는 셈이다.

현대엔지니어링은 현대건설의 자회사다. 현대건설이 38.62%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또한 현대차가 현대건설의 20.95%의 지분을, 현대모비스가 현대차의 21.43%의 지분을 보유해 최대주주로 올라 있는 구조다. 그룹사 발주에 따른 건설공사 수주는 내부거래로 발생하는 상황이다.

이처럼 내부 계열사에 대규모 사업 발주가 가능한 이유는 자동차 공장과 같은 기술보안 문제가 걸린 경우 법적 제재를 받지 않기 때문이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그룹 계열사 간 내부거래 중 부당하게 일감을 몰아주거나, 부를 이전하려는 목적이 있는 사례를 제재하고 있다.

그러나 현대자동차의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 그룹사 내 건설사인 현대건설이나 현대엔지니어링의 수주가 필수적이라고 주장할 수 있다. 이같은 경우 경쟁입찰 없이 수의계약을 하더라도 부당한 '일감 몰아주기'에 해당하지 않는다.

현대엔지니어링 실적은 해외 매출이 견인하고 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해 3분기 누계 매출액 9조1654억 원, 영업이익 1703억 원을 기록했다. 전년 동기대비와 비교해 매출액은 45%, 영업이익은 49.9%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해외 매출이 4조8000억 원으로, 전년 한 해 매출(4조3846억 원)을 이미 뛰어넘었다.

해외 수주의 성장세로 현대엔지니어링의 실적 전망은 양호한 상태다. 삼성증권은 "현대건설은 지난 2022년 극도로 부진했던 현대엔지니어링 실적이 그룹사의 미주 전기차와 배터리 공장 건설 등에 힘입어 올해부터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망했다.

wisdom@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