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정소양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이번 주 올해 첫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시장에서는 향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에 따라 한은이 기준금리를 인상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높은 물가, 가계부채 증가세 등에 따라 금리 인하에 돌입할 가능성도 적어 8연속 금리 동결에 무게가 실린다.
8일 금융권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11일 올해 첫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한다.
박춘섭 전 금통위원이 대통령실 경제수석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겨 이번 회의는 금통위원 6명(이창용 총재 제외) 중 한 자리가 공석인 채 진행된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이번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동결 결정을 내릴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한은이 이번에도 금리를 현 3.50%로 유지할 경우 '8차례 연속 동결'이 된다. 앞서 한은은 지난해 2월부터 7연속 기준금리를 동결했다.
기준금리 인상은 희박하다는 것이 시장의 인식이다.
미국 중앙은행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역시 지난해 7월부터 기준금리를 연 5.25~5.5%로 묶어 한미 금리차는 반년째 사상 최대인 2%포인트를 유지하고 있지만, 미 연준이 올해 금리 인하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한은의 부담도 줄어들었다는 분석이다.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추가로 벌어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여서다.
여기에 태영건설의 워크아웃 신청으로 부동산 PF 위기가 더욱 고조되고 있는 점도 금리 인상 가능성을 낮추고 있다. 건설사들의 단기자금 조달 불확실성이 커진 상황에 기준금리 인상 충격까지 더해지면 사태는 더욱 악화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선제적으로 금리 인하를 단행하기에는 아직 시기상조라는 분위기가 팽배하다. '물가'와 '가계부채'가 발목을 잡고 있기 때문이다.
금통위는 '물가가 목표 수준인 2%대로 수렴해야 금리 인하를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2%로, 여전히 목표 수준인 2%에 못 미친다. 한은은 올해 연말로 갈수록 물가가 2%에 근접해 나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가계부채 역시 부담 요인이다. 지난해 4월부터 연말까지 8개월 연속 증가 추세를 보이던 가계부채는 지난해 3분기 말 가계신용 잔액은 1875조6000억 원으로 사상 최대치에 달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1월 금통위는 현재의 긴축적인 수준이 유지돼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는 데 집중하고, 금리 인하 논의는 섣부르다는 의견을 보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하건형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1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수출 개선에도 소비 부진 지속과 부동산 PF 불안 등이 상존하지만 불확실한 미국 금리 인하 시점에 따른 내외 금리차 확대, 부동산 가격 등으로 인한 가계부채 증가 등을 관리 위해 긴축 기조 유지에 무게를 둘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