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수산물 사용 안한다" 소비자 안심시키기 나선 식품업계


일본 오염수 방류 단행, 국내 일본산 수산물 불안 확산
식품업계, "일본산 수산물 유통 일체 없다" 강조

일본이 후쿠시마 오염수 해양 방류를 시작한 24일 오후 부산 중구 자갈치 시장이 한적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더팩트 DB

[더팩트|우지수 기자] 국내 식품업계가 일본산 수산물을 유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대중에게 강조하고 있다. 일본이 원전 오염수를 방류하면서 불거진 식탁 안전 걱정이 단체급식, 식자재 공급 업체에게도 향했기 때문이다. 중국이 일본산 수산물 수입 전면 금지를 결정했고 국내에서도 이에 대한 논쟁이 잇따르면서 기업은 소비자를 먼저 안심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

25일 <더팩트> 취재 결과, 일본산 수산물 수입 논쟁이 도마에 오르자 식품업계가 소비자들을 안심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업계는 일본산 수산물을 일체 유통하지 않는다고 대중에게 알리고 일본산이 아니더라도 방사능 검사에 총력을 기울인다고 설명했다.

아워홈과 CJ프레시웨이, 현대그린푸드는 일본산 수산물을 취급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아워홈 관계자는 "고등어나 연어는 주로 북유럽산을 사용하고 다른 생선은 태평양산 어종을 쓴다"며 "오염수 방류로 태평양 어류들에 대한 불안감도 큰 걸로 알아서 일본산이 아니더라도 방사능 수치를 철저하게 검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세계푸드는 앞으로 일본산 수산물을 사용하지 않겠다고 전했다. 이어 현재 방사능 검사를 통과하는 등 안전성이 보장된 수산물만 매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안전성이 담보된 수산물 매입을 원칙으로 하고 식품안전센터와 협력사를 통해 자체적으로도 3개월 주기로 2회 이상 방사능 검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로 들여오는 일본산 수산물의 경우 보통 활어 상태가 많다. 냉동이나 건조 상태 수산물을 주로 사용해야 하는 대량 급식업체는 일본산을 굳이 쓸 필요가 없다"며 "그럼에도 이를 알려 소비자들이 한층 더 안심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활어를 주로 사용하는 수산시장이나 횟집에서는 일본산 수산물 사용 축소에 대한 고민이 더 클 것"이라고 덧붙였다.

수입 일본산 수산물은 가리비와 참돔이 큰 비중을 차지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 수입식품정보마루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지난 24일까지 국내로 들어온 활가리비는 대부분이 일본산으로 6398톤, 2633만 달러(약 347억 원)어치가 수입됐다. 이어 중국산 210톤, 러시아산 10톤이 활가리비 수입 비중을 차지했다. 같은 기간 동안 수입된 활참돔은 일본산이 100%로 3422톤을 기록했다. 일본산 수산물은 전체 수입 수산물량의 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남 창원시 마산어시장에서 횟집을 운영하는 한 자영업자는 "가리비가 주요 판매 품목인데, 손님들이 일본산을 선호하는 경우가 많아 많이 들여오고 있다. 오염수 방류 후에는 일본산 자체를 꺼리는 사람이 늘어날 것 같아 걱정이다"고 토로했다. 이어 "초밥을 만들 때 사용하는 도미초밥의 재료도 보통 일본산인데 소비자 수요가 줄어들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일본 오염수 방류가 걱정된다는 한 시민은 "전체 수산물에 대한 불신이 커지고 있는 건 사실이다. 그럼에도 일본산을 사용하지 않는 기업이라고 명확하게 말해준다면 최소한의 불안감은 덜 수 있겠다"고 전했다.

정부는 오염수 방류 불안으로 국내 수산업이 침체되지 않도록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정부와 국민의 소통이 어느때보다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24일 국민 담화문에서 "우리 수산업을 지키기 위해 정부는 역대 최대 규모로 확보해 놓은 수산물 소비 활성화 예산 640억 원을 최대한 신속하게 집행하고 있다"며 "내년에는 올해보다 지원 규모를 2배 이상 확대하고, 가격 안정화를 위한 수산물 비축·수매도 역대 최대 규모로 지원하겠다. 수산업 긴급경영안정자금을 5배 확대하고 대출한도 역시 한시적으로 상향하겠다"고 밝혔다.

김영목 부경대 식품과학부 교수는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이 지난 24일 주최한 '방사능 바로알기 대토론회'에서 "오염수 방류가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은 빠르면 3년, 늦으면 10년 뒤에나 온다"며 "수산물 판매 부진 등 시장 혼란은 정부와 대중의 소통 부재 때문이다. 정부 기간과 전문가들이 대중의 눈높이에서 현재 상황이 어떤가에 대해 적극적으로 의사소통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식품업계는 일본산 수산물을 유통하지 않는다는 점을 알리고 나섰다. 일본산 수산물이 아니더라도 철저한 방사능 검사를 거친다는 점도 강조했다. /더팩트DB

한편 국내외로 일본산 수산물 수입 규제에 대한 갑론을박이 거세지는 모양새다. 24일 중국 해관총서(관세청)는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항의하며 공고문을 통해 일본산 수산물 수입 전면 중단을 선언했다. 지난해 일본 수산물을 가장 많이 수입한 국가인 중국이 이 같은 강경한 반응을 보이자 국내에서도 수산물 수입 정책을 재고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대한민국은 10년 넘게 이어온 일본 수산물 수입 규제를 유지하겠다고 발표했다. 한국은 2011년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후쿠시마현 등 8개 현에서 나는 일부 수산물 수입을 금지했고 2013년 9월엔 이 지역의 수산물 전체로 수입 금지 범위를 늘렸다. 정부는 국민들의 안전한 식탁 걱정에 대해 오염수 방류 후에도 후쿠시마 및 인근 현에서 생산되는 수산물에 대한 수입은 없을 것이라고 쐐기를 박았다.

반면 야당에선 일본산 수산물 수입을 중국처럼 전면 막아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더불어민주당은 긴급 의원총회에서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대응 특별 안전조치 4법'을 당론으로 채택하며 오염수 대응을 확대를 주장했다.

한 식품업계 관계자는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이슈가 커질수록 소비자는 국내 기업의 대응책을 주시할 것"이라며 "국민 걱정이 더 심화하지 않도록 식탁 안전 관리에 최선을 다할 예정이다"고 말했다.

index@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