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이노베이션·CJ CGV, 같은 유증 다른 흐름 '눈길'…전망은?


양 사, 유상증자 발표→주가 급락 후 10여 일 지나
SK이노베이션, 'V자 반등' 낙폭 메우는데…CJ CGV는 연일 신저가 경신

SK이노베이션과 CJ CGV가 지난달 말 일반 공모방식의 대규모 유상증자를 결정하면서 주가가 급락했으나 최근 다른 흐름을 보여 투자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고 있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SK이노베이션과 CJ CGV가 대규모 유상증자를 실시하면서 주가 하락세를 겪었지만, 열흘가량이 지난 후 사뭇 대조된 흐름을 보이고 있어 투자자들의 눈길을 끈다.

6일 오후 12시 42분 기준 SK이노베이션은 전 거래일 대비 0.12%(200원) 오른 16만7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전날까지 4거래일 연속 상승 마감했으며, 최저 15만8000원(6월 29일 종가)까지 떨어진 낙폭을 상당 부분 메우고 있다.

반면 같은 시간 CJ CGV는 전 거래일보다 2.96%(270원) 내린 8850원에 거래되면서 낙폭을 키우고만 있다. 유상증자 발표 후 11거래일 중 상승 마감한 거래일은 단 3일이며, 상승 마감일마저도 소폭 상승에 그쳤다. 연일 52주 신저가 경신을 이어간 모습이다.

이에 유상증자 전과 후로 비교하면 양 사의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지난달 23일 1조1777억 원의 유상증자를 결정 공시한 SK이노베이션은 다음 거래일인 26일 하루 만에 6%(1만1100원) 내린 16만73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후 4일 연속 하락하며 기존 주주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으나, 5일 연속 상승세를 통해 유상증자 후 첫날 주가를 다시 넘어서는 등 화색을 띠고 있다.

5700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발표한 CJ CGV는 발표 다음 날 무려 21.1%(3060원)이 빠지면서 역시 SK이노베이션과 유사한 출발을 보였다. 그러나 11거래일간 주가는 더 내리면서 반등의 기미 없이 급기야 상장 후 처음으로 8000원대까지 내렸다.

유상증자는 신주를 발행해 기존 주주나 신규 주주에게 대금을 받고 파는 형태를 의미한다. 재무 상태에 위험 요소가 되는 급한 부채를 갚아야 하거나, 미래 투자에 필요한 자금을 조달하는 게 목적이기 때문에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될 여지도 충분하다.

다만 유상증자 시 통상 현재가보다 낮은 가격으로 신주가 발행되는 것은 물론, 전체 주식 수가 늘어나기 때문에 기존 주주들의 가치가 희석될 우려도 공존한다. 최대 주주나 신규 투자자에게 자금을 지원받는 형태인 제3자 배정방식이 아닌 일반 공모방식이라면 더욱 그렇다. 양 사 모두 이번 유상증자가 일반 공모방식이었기 때문에 단기적인 주가 하락은 불가피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SK이노베이션은 최근 4거래일 연속 상승세를 그렸지만, CJ CGV는 연일 52주 신저가를 경신하고 있다. 각각 유상증자 결정으로 주가 하락세를 겪은 지 10여 일만이다. /더팩트 DB

그러나 유상증자 결정 후 10여 일이 지난 현재 다소 대비된 흐름은 일부 투자자들의 관심 대상이 됐다. 이에 금융투자업계에서는 양 사의 최근 주가 흐름이 다른 이유를 유상증자 규모와 원인에서 찾고 있다.

우선 양 사가 각각 새롭게 발행할 신주의 비중이 다르다. CJ CGV는 이번 유상증자를 통해 현재 주식 총수(4774만 여주)보다 1.5배 가량 많은 7470만 주를 발행한다. 반면 SK이노베이션은 유상증자로 발행주식 총수(9246만 여주)의 10%에 못 미치는 819만 주를 새롭게 발행한다. 기존 주주 입장에서는 SK이노베이션이 유상증자를 통해 발행할 규모가 CJ CGV보다 2배가량 많음에도, 현재 주식 총수보다 훨씬 많은 주식을 새로 발행하는 CJ CGV 쪽이 더욱 달갑지 않은 셈이다.

유상증자로 조달한 자금 활용안도 주가 흐름 차이에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팬데믹 후 3년여간 이어진 실적 악화를 딛고 지난해부터 적자 폭을 줄여가고 있지만 여전히 흑자 전환까지 갈 길이 멀다는 평가를 받는 CJ CGV는 이번 유상증자 중 67%(3800억 원) 가량을 채무 상환에 쓰고 나머지는 운영자금으로 활용한다. SK이노베이션도 유상증자 물량 중 3500억 원을 채무 상환에 쓸 계획이나 이는 30%에 그친다. 나머지 70%는 미래에너지·친환경 등 신사업 발굴과 연구개발을 위한 설비 등에 쓰일 전망이다.

최근 주가 흐름이 엇갈렸다면 전망은 어떨까. 영화나 비주얼 엔터테인먼트 상영관을 운영하는 멀티플렉스업체 CJ CGV는 투자자들의 이목을 끌 '흑자 전환'까진 갈 길이 멀다는 평가가 여전하다. 유일하게 1000만 관객을 돌파한 '범죄도시3'를 제외하면 올해 극장에 '메가 히트작'이 걸리지 않는 것도 탄력을 받지 못한 이유로 풀이된다. 하반기 다양한 사업 연계를 통한 실적 회복 노력과 흥행 작품의 등장 등이 요구된다.

석유와 화학 및 윤활유 제품을 생산·판매하는 정유사 SK이노베이션 역시 올해 상반기 불안정한 유가와 정제마진 악화로 전년 대비 업황 부진을 겪는 중이다. 다만 적자에 접어든 단계는 아니며, 시장에서 실적 부진에 대해 호황을 누린 지난해 기저효과로 해석한다면 이야기가 다르다는 시각도 나온다. 정유사 실적 지표로 활용되는 정제마진이 하반기 석유 제품 수요 증가에 따라 상반기보단 오를 것이란 전망도 희망적이다.

한 금융투자업계 관계자는 "경영자 입장에서 보면 유상증자를 통해 단기적으로 주가가 하락함에 따라 기존 주주들의 반발을 살 수 있지만, 더 나은 경영을 위해 불가피한 시점이라고 판단했을 가능성도 높다"며 "어찌 됐든 채무를 줄이면 리스크가 감소한다. 투자자들이 유상증자를 장기적인 관점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한다면 빠른 주가 회복도 가능하다. 보다 유상증자 비중이 적고, 안정된 재무구조에 미래 사업까지 챙기려 한 SK이노베이션의 주가 회복세가 더욱 빠른 정도다"고 말했다.

2kuns@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