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탄소 감축과 경제적 성과 창출이 기대되는 기후테크 산업을 육성해 탄소중립 이행을 성장 동력으로 활용하기 위한 전략이 추진된다.
2030년까지 민관 합동 145조원 규모의 투자와 연구개발(R&D)을 통해 기후테크 관련 유니콘 기업 10개를 육성하고 수출 100조원을 달성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이 담긴 '기후테크 산업 육성 전략'을 마련했다.
기후테크 산업은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적응 기술을 활용하는 연관 산업을 말한다.
먼저 정부는 2030년까지 기후테크 산업에 민관합동으로 145조원 규모를 투자해 성장 성공모델로 유니콘 기업 10개를 육성한다. 수출 100조원을 달성하고 신규 일자리 10만개를 창출할 계획이다.
산업기술혁신펀드 내 전문펀드 및 초격차 펀드를 신설해 4000억원 이상의 정책펀드를 조성하고 기업형 벤처캐피탈(CVC), 임팩트 투자 등 기업 ESG 활동과 연계한 2000억원 규모의 민간 투자를 활성화한다.
기업 스케일업을 위한 융자보증 등 기후금융도 2030년까지 8조원 규모로 확대한다. 기후테크 산업 인증 및 K-택소노미 연계인증을 통해 약 135조원 규모의 민간 5대 금융그룹의 투자도 유치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유망 기후테크 기술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도록 기술개발, 실증, 사업화 과정을 연계한 1조원 규모의 기후문제 해결형 대규모 R&D 신설을 추진한다.
정부는 초기 수요를 끌어내 해외시장 진출은 적극 지원해 수출규모 100조원 달성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수요 연계형 연구개발을 확대하고, 조달 연계 지원 사업, 절충교역 등 공공 시장을 통해 관련 산업의 초기 수요를 견인한다는 방침이다.
기후테크 산업 성장기반도 강화한다. 민간 주도의 자발적 탄소시장을 활성화하기 위해 인증표준과 지침을 고도화하고 온실가스 감축 사업계획에 타당성평가와 감축실적 검증을 위한 컨설팅도 지원한다.
또 한국표준산업분류 개정안에 CCUS표준산업분류코드를 신설한다. 업종별 분류 외에 주 생산품목과 비즈니스모델 등을 고려한 분류체계 개선으로, 산업 구조변화와 업계 수요를 반영한 정책기반을 마련한다.
pepe@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