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 파장에 美 금융권 '철렁'…국내 증시 여파는?


美 재무부, 예금 전액 보증…금감원 "리스크 제한적"
업계 "SVB 사태 여진 우려…CPI 등 지표 민감성↑"

미국 정부가 최근 파산한 실리콘밸리은행(SVB)을 대상으로 고객이 맡긴 돈을 보험 한도와 상관 없이 전액 보증하기로 했다고 워싱턴포스트(WP)등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시스

[더팩트ㅣ박경현 기자]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붕괴로 미 금융권에 충격파가 가해진 가운데 국내 증시에 쏠릴 여파에 시선이 모인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직접적인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지만 금리인상 장기화에 따라 채권 투자로 손실을 보는 금융사가 늘어날 가능성 등 국내 시장 내 혼동은 피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13일 코스피는 전거래일보다 0.24%(5.86포인트) 오른 2400.45에 출발하며 SVB 사태에 대한 시장의 우려보다 비교적 안정된 출발을 보였다. 코스피는 이내 하락세로 돌아서 오전 9시 36분께 전거래일보다 0.38%(9.00포인트) 내린 2385.59를 가리켰고 오전 중 2400선을 밑도는 선에서 거래됐다.

SVB의 파산 사태에 미국 정부가 즉각 소방수로 나선 데다, 금융당국도 국내 시장에 리스크가 제한적일 것으로 진단하면서 당장은 파장이 크게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된다.

현지시간 12일 워싱턴포스트(WP) 등 외신에 따르면 미국 재무부와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연방예금보험공사(FDIC)등은 SVB에 고객이 맡긴 돈을 보험 대상 한도와 상관 없이 전액 보증하기로 결정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이날 오전 '금융상황 점검회의'를 개최해 "이번 사태는 SVB의 특수한 영업구조가 최근 금융긴축 과정과 맞물려 발생한 경우"라고 진단하며 "미국 정부 및 금융당국이 SVB 모든 예금자를 보호하기로 조치함에 따라 시스템적 리스크로 확대될 가능성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SVB는 앞서 미 국채 가격 폭락으로 자금위기가 불거졌고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으로 이어지자 무리한 채권 매각에 파산을 맞이했다.

전문가들은 당장은 연준이 시장에 부담을 주는 수준의 금리 인상을 선택해 재차 충격을 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그룹의 페드워치(FedWatch)에 따르면 이날 현재 연준이 3월에 기준금리를 0.25%p를 올릴 것이라는 전망은 지난 10일 기준 주말을 지나는 동안 59.8%에서 87.1%로 급격히 높아졌다.

전문가들은 당장은 연준이 시장에 부담을 주는 수준의 금리 인상을 선택해 재차 충격을 가하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사진은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AP.뉴시스

그러나 일각에선 연준의 빅스텝 가능성 약화에도 금융시장과 증시 불확실성이 오히려 커졌다는 시각도 나온다. 이번 SVB 사태는 금융사가 조달한 단기성 자금을 채권 등 장기 자산에 투자한 이후 손실을 감당하지 못한 것이기에, 다른 은행에서 추가적인 뱅크런이 발생하는 등 여파가 이어진다면 시장에 또 다른 악재가 될 수 있다.

작년 하반기 국내 시장에서 큰 파장을 몰고 온 레고랜드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위기 등도 금리 인상기에 유동성 문제를 해결하지 못한 금융사들이 생겨난 것이기 때문이다. 연준이 금리인상 행렬을 멈추지 않는 현 상황에서 비슷한 문제가 지속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양해정 DS투자증권 투자전략팀장은 "금리가 서서히 오르면 대응을 할 수 있는데 너무 급격히 오르면서 장기 채권을 보유한 곳의 손실이 커지는 미스매치가 발생했다"면서 "앞으로도 이런 문제에 노출돼있는 취약한 금융사들이 계속 나타날 수 있다"고 우려했다.

국내 증시의 경우 여타 금융업종으로 리스크가 확대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안전자산의 쏠림 현상으로 투자심리가 위축될 가능성이 있어서다. 지난 10일(현지시간) 미국 증시에서는 금리 영향이 큰 중소형 종목을 중심으로 주가가 빠지며 1% 증시가 넘게 하락했다.

한편, 미국 증시가 이번주 내내 SVB 여파에 따른 변동성이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개최와 인플레이션 완화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발표에도 관심이 집중된다.

국내 증시도 미국 경제지표와 SVB 사태 여진, 중국 소매판매 등 각종 변수들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번 주 미국 주요 경제지표 발표는 14일(현지시각) 미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15일 2월 생산자물가(PPI)·소매판매, 17일 2월 산업생산 등이 예정돼 있다.

김영환 NH투자증권 연구원은 "이번 경제지표에 금리인상폭이 결정될 가능성이 높은 만큼 좋은 지표는 나쁘게, 나쁜 지표는 좋게 해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김영환 연구원은 이어 "경기 전망에 대한 시장참여자들의 의견이 재차 엇갈리기 시작했다는 점 등을 감안하면 증시 변동성이 확대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경민 대신증권 연구원은 "당분간 글로벌 금융시장은 금융위기 악몽을 떠올리며 작은 기업 또는 은행들의 부도 소식에도 예민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다"면서 "코스피의 변동성 확대, 상대적 약세국면 전환 가능성을 경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추가 금리 인상 우려는 성장 기대 약화, 밸류부담 가중으로 중국 경기회복 기대 약화는 추가적인 원화 약세, 외국인 매도 압력 확대로 이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pkh@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