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심' 잡고 위상 회복? '한일 관계 개선' 중책 맡은 전경련


경단련과 미래청년기금 조성
정부 보조 맞추며 위상 회복할지 관심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 구축 방안 논의 시작"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일본 경제단체연합회와 함께 미래청년기금(가칭)을 공동 조성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더팩트 DB

[더팩트ㅣ이성락 기자] 국내 대표 경제단체인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가 일제 강제징용 문제와 관련해 미래청년기금(가칭) 조성에 나선다. 일본 네트워크를 활용해 윤석열 정부가 추진하는 '한일 관계 개선'에 보조를 맞추는 모습이다. 재계 안팎에서는 과거 위상을 회복해야 하는 운명의 기로에 선 상황에서 이러한 중책을 맡는 건 전경련으로선 기회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7일 재계에 따르면 전경련은 전날(6일) 발표된 윤석열 정부의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과 관련한 미래청년기금을 조성하는 작업에 착수했다. 일본 피고 기업(일본제철·미쓰비시중공업)의 직접 피해 배상을 기대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일본의 경제단체연합회(경단련)와 함께 민간의 자발적 기여 등을 통해 재원을 마련하는 가교 역할을 맡게 된 것이다.

현재 전경련은 위기를 겪고 있다. 박근혜 정부 국정농단 사태 당시 K스포츠·미르재단 후원금 모금 사실이 드러나 논란을 빚었고, 4대 그룹이 탈퇴하면서 위상이 추락했다. 이후 문재인 정부 때 적폐로 낙인찍혀 주요 행사에서 배제되는 이른바 '패싱 굴욕'을 겪었다. 윤석열 정부 들어서도 중추적 역할을 할 수 없어 한때 조직의 존폐 갈림길에 서기도 했다. 기업인 중에서 회장직을 맡겠다는 인물이 나타나지 않아 '김병준 회장직무대행 체제'가 들어선 상태다.

분위기 반전이 필요한 시점에 강점인 일본 네트워크를 활용할 기회가 열린 셈이다. 전경련은 국내 민간단체 가운데 최고 수준의 일본 네트워크를 보유한 것으로 평가된다. 1961년 고(故)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회장이 경단련을 벤치마킹해 설립한 전경련은 지금까지 경단련을 포함한 일본 경제계와 긴밀한 관계를 이어오고 있다. 전경련은 경단련과 함께 매년 한일 재계회의를 열고 양국의 경제 협력 강화 방안을 지속 논의하고 있다.

물론 미래청년기금을 조성하는 것이 한일 관계 개선의 해법으로서 주효할지는 미지수다. 배상과 관련해 일본 피고 기업의 직접 참여 없이 책임을 털어내는 우회로를 만들어줬다는 지적도 적지 않다.

전경련이 친정권 인사로 분류되는 김병준 회장직무대행 체제 아래 현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한일 관계 개선에서도 성과를 내며 위상 회복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뉴시스

그러나 이러한 지적과 별개로 윤석열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한일 관계 개선에 일정 부분 성과를 낼 수 있다면 과거 위상을 다시 회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미래청년기금 조성뿐만 아니라 한일 관계 해빙 분위기에 맞춰 향후 민간 영역의 주요 활동을 주도적으로 이끌 가능성도 크다. 일각에서는 윤석열 대통령 인수위 지역균형발전특별위원장을 지내 친정권 인사로 분류되는 김병준 직무대행이 지휘봉을 잡은 상황과 맞물려 추후 최대 과제인 4대 그룹 재가입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란 해석도 나온다.

재계 관계자는 "한일 문제에 있어 민간에서는 그동안 전경련이 선봉에 나서왔다"며 "앞으로도 가교 역할을 잘 해낼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는 성과다. 미래청년기금과 관련해 아직 구체적인 내용은 공개되지 않았다. 현재로서는 일본 전범 기업들이 참여할지 여부도 불투명하다.

전경련은 경단련과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안을 전면 재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경련은 "전경련과 경단련은 그간 한일 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논의해왔다. 강제징용 문제에 대한 양국 정부 간 합의를 계기로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 구축 방안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시작할 예정"이라며 "기금에 대한 논의를 포함해 모든 방안을 제로베이스에서 검토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경련을 비롯한 국내 경제단체들은 정부의 강제징용 배상 관련 해법에 대해 "최선의 선택"이라고 평가했다. 전경련·대한상공회의소·한국무역협회·중소기업중앙회·한국경영자총협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6단체는 공동성명에서 "한국과 일본 정부가 강제징용 문제 해결 방안에 합의한 건 북핵 대응 등 동북아 안보 공조와 이를 위한 한미일 협력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한일 관계 악화로 직간접적 피해를 본 양국 경제 교류 활성화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rocky@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