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김태환 기자] 르노코리아자동차(르노코리아), 쌍용자동차 등 국내 자동차업체들의 수출이 자동차운반선(PCTC)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자동차운반선을 운용 선사들이 노후 선박을 폐선하고, 중국이 전기차 수출을 늘리면서 운반선 공급이 줄어든 데다 이용료까지 급등하면서 수출에 제동이 걸리는 모양새다.
18일 자동차업계에 따르면 최근 르노코리아 협력업체를 대표하는 '르노코리아자동차협력업체협의회'(협의회)는 자동차 수출 위기 국면에 따른 수출 지원 방안을 정부와 부산시 그리고 지역 경제계에 마련해 줄 것을 촉구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협의회는 "최근 두 배 이상 높아진 수출 물류비로 인해 어렵게 버텨온 자동차 수출 경쟁력이 위기에 처해 있다"면서 "전용 선사가 없는 국내 자동차 완성차·부품 협력업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수출 물류 지원 대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근 자동차운반선(PCTC) 부족으로 선박을 빌리는 용선료가 급등하고 있는 추세다. 한국해운협회에 따르면 선박 1척당 6500대까지 선적할 수 있는 카캐리어 선박 용선료는 2021년 말 기준 하루 3만5000달러(4314만 원)에서 지난해 12월 기준 11만 달러(1억3559만 원)로 1년 새 무려 214%나 상승했다.
용선료 급등은 중국의 전기차 수출 확대가 영향을 끼친 것으로 풀이된다. 중국자동차공업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중국의 자동차 수출대수는 총 311만 대에 달했다. 2021년과 비교했을 때 54.4% 증가한 수출량이다.
여기에 카캐리어 선사들의 노후 선박 폐선도 공급 부족을 부채질했다. NYK, MOL, 유코, 케이라인 등 주요 자동차운반선사들은 지난 2021년부터 자동차운반선을 대거 폐선·발주했다. 문제는 선박이 건조되는 기한이 오래 걸린다는데 있다. 가장 큰 자동차운반선사인 NYK는 18척의 자동차운반선을 발주한 상태인데, 올해는 6척만 인도될 예정이다. 대다수 선사들이 올해 말이나 2024년 이후 선박을 인도하는 일정이다.
이처럼 수출에 제약이 생기면 르노코리아와 쌍용자동차 등 자동차업체 치명타가 될 수도 있다. 르노코리아는 지난해 총 16만9641대 차량을 판매했는데, 이중 수출은 11만7020대로 전체 판매량의 69%를 차지하고 있다. 반면 르노코리아 지난해 내수 판매량은 전년(6만1096대)보다 13.9% 감소한 5만2621대다. 수출 비중이 높은 상태에서 운임 상승과 수출 지연 등이 발목을 잡으면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관측이다.
해운업계 관계자들은 '이렇다 할 해법이 없다'고 입을 모은다. 임시방편으로 자동차전용선이 아닌 컨테이너선으로 운반하는 방안이 있지만, 선적과 하역 등의 문제로 시간과 비용이 추가로 늘어나게 된다.
해운업계 관계자는 "컨테이너 박스에는 적게는 2대, 소형차의 경우 최대 4대까지 적재할 수 있지만 고박하는 장치가 따로 필요하고 선적과 하역에 추가로 비용이 들어가 중고차 수출에 주로 이용된다"면서 "수백~수천 단위의 차량을 선적하기에는 부적합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여기에 일반적으로 자동차운반선은 출발지와 도착지가 하나인 경우가 많은데, 컨테이너선은 대부분 여러 화주의 화물을 실어 항만 여러 곳을 다 거쳐야 한다"면서 "사실상 경기부진이 나타나 자동차 수출에 대한 수요가 줄어드는 경우가 아니면 지금 현재 상황에선 (대책이) 없다"고 덧붙였다.
르노코리아 관계자는 "전반적으로 전용선들이 노후화돼 운행하는 숫자 자체가 줄어들다 보니 비싼 용선료를 감수하고도 선박을 구하는 것 자체가 힘든 상황"이라며 "개별 기업 하나가 풀어내기는 쉽지 않은 상황이기에 정부와 지자체와 함께 머리를 맞대고 논의해야 하는 상황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kimthi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