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편에 이어
[더팩트|문수연 기자]
◆ 정용진, 야구장을 라이프스타일 중심 새로운 고객접점 확대 전망
유통업계 소식 들어보겠습니다. 지난 8일 SSG랜더스가 한국시리즈에서 우승컵을 거머쥐었습니다. 창단 2년 만에 이룬 쾌거인데요. 그 중심에는 정용진 신세계그룹 부회장의 리더십이 자리잡고 있다고 들었습니다.
-네. 우승 배경에는 정용진 부회장의 '신세계 유니버스' 전략이 있었습니다. 정 부회장의 야구단 전폭 지원과 투자로 선수들이 야구에 전념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습니다. 관중이 늘어나자 신세계그룹 주요 계열사 마케팅이 더 활발해지면서 '성적→흥행→매출'이라는 선순환 고리가 만들어졌습니다
-어떤 지원과 투자가 있었나요.
-네. 먼저 야구단 성적을 올리는 방법을 고민했습니다. 기량이 출중한 스타선수를 영입하고 선수단을 보강하는 동시에 야구장 시설 보완에도 힘을 쏟았습니다. 지난해 국내 대표 메이저리거 추신수 선수를 영입해 팀의 주춧돌로 삼은 후 구단의 프랜차이즈 스타인 김광현 선수를 메이저리그에서 불러들였습니다. 노후한 시설 정비에도 힘썼습니다. 10개월간 SSG랜더스 필드 내 클럽하우스와 홈·원정 덕아웃, 부대시설에 40억 원을 들여 지난 3월 전면 리모델링을 완료했습니다.
-야구가 흥행하면서 신세계그룹 마케팅 전략도 큰 성과를 냈다고요.
-네. 정용진 부회장은 야구단 인수 당시 본업(유통)을 더 잘하기 위해서라고 밝혔습니다. 실제로 지난 4월 구장에 SSG랜더스 굿즈숍(goods shop)을 열었는데 이곳에서는 이마트 바이어들이 직접 개발에 참여한 상품 140여 종을 판매했습니다. 특히 야구단과 연계한 굿즈 매출은 치솟았습니다. SSG닷컴이 한 유니폼 한정 판매는 몇 분도 안 돼 완판을 기록한 했습니다. 또한 노브랜드 버거 100호점인 SSG랜더스필드점은 홈경기가 열리는 날이면 전국 매장 가운데 일일 판매량 1위를 달성했습니다. 신세계그룹에, 따르면 올해 SSG 랜더스 필드 식음료(F&B) 월평균 매출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에 비해 67%, 2018년에 비해 약 2배 증가했습니다.
-이번 한국시리즈 우승 기념으로 그룹 차원에서 '팬 감사제'를 기획하고 있다고요.
-네. 신세계그룹이 프로야구단 SSG랜더스의 정규시즌과 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을 기념해 '고객 감사제'를 진행합니다. 그룹 차원의 감사제는 다음 주에 열리며 일부 계열사들은 우승 기념 이벤트를 먼저 시작했습니다. △SSG닷컴 △신세계백화점 △이마트24 △W컨셉 등에서 현재 우승 기념 할인 행사를 하고 있으며 다음 주에는 그룹 차원에서 팬 감사제를 열 예정입니다.
-끝으로 정 부회장의 향후 '신세계 유니버스' 계획은 어떻게 되나요.
-네. 프로야구 창단 2년차 만에 통합 우승이라는 꿈을 이룬 정용진 부회장의 야구사랑 행보는 앞으로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입니다. 먼저 스타필드와 야구장을 연계하는 큰 그림을 구상 중입니다. 특히 지난 8월에는 유정복 인천시장을 만나 스타필드 청라와 돔구장 건설 등에 적극 협력하기로 뜻을 모았습니다. 야구장을 라이프스타일 중심으로, 새로운 고객접점을 확대하겠다는 지향점이 더욱 뚜렷해질 것으로 보입니다.
◆ CPI에 잠시 웃은 증시…호재 맞지만 갈 길은 멀다?
-금융권의 이번 주 화두는 단연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소식이었습니다. 미국 노동부는 지난 10일(현지시각) 미국의 10월 CPI가 전년 동월에 비해 7.7% 상승했다고 밝혔습니다. 시장 전문가 예상치(7.9%)보다 약 0.2%포인트 낮은 수준이죠. 지난 6월 미국 CPI는 9.1%까지 치솟으며 40년 사이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으나 7월부터 상승 폭을 줄이고 있습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도 전년 동월보다 6.3% 오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역시 시장 예상치인 6.5%보다 낮았습니다.
-예상치를 밑돈 CPI 소식에 뉴욕증시도 미소를 띠었죠. CPI가 예상치를 밑돌자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기술주 나스닥지수 등 뉴욕증시의 3대 지수는 모두 약 2년 반 만에 최고 상승폭을 나타냈습니다. 나스닥 지수는 7.35%라는 놀라운 상승률을 기록한 걸요.
-국내증시도 오랜만에 함박웃음을 지었습니다. 코스피와 코스닥은 지난 11일 3% 넘는 상승세를 보이며 장을 마쳤습니다. 코스피는 3.37% 오르며 2개월 치 하락분을 만회했고요.
코스피와 코스닥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도 일제히 상승 마감했습니다. 국민주로 일컬어지는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에 비해 4.14%(2500원) 오른 6만2900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 장중 고가는 6만3200원입니다. 삼성전자 주가가 6만3000원 대로 올라선 것은 지난 6월 10일(장중 최고가 6만4400원) 이후 5개월 만입니다. 상승폭 역시 지난 9월 13일(4.50%) 이후 두 달여 만에 가장 크구요.
-CPI 발표 이후 시장에서는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의 12월 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자이언트스텝(기준금리 한 번에 0.75%포인트 인상)'이 아닌 '빅스텝(0.5%포인트 인상)'을 밟을 가능성이 대두했는데요. 우리나라 기준금리 역시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고요. 전문가들은 미국의 물가상승률 둔화 등의 영향으로 한국은행이 오는 24일 빅스텝을 단행할 가능성이 낮아지고 있다고 보는데요. 정말 긴축의 변곡점이 되려나요?
-기대감이 생긴 건 사실입니다. 물가 하방경직성에 대한 걱정이 많은 것을 감안할 때, 근원물가 하락은 시장과 Fed 모두에 긍정의 재료란 것이죠. 국내 증권 전문가들 가운데는 "미국 물가 지표가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를 갖게 한다는 점에서 주식은 바닥을 쳤을 가능성이 크다"며 '바닥론' 청사진을 내놓은 이들도 제법 보입니다
그럼에도 당장 Fed의 통화정책 전환을 기대하기에는 아직 이르다는 의견이 중론입니다. 인상 속도 둔화가 통화 완화 정책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평가죠.
-인플레이션이 질주를 멈추고 정상 수준으로 회복하기까지는 얼마나 걸릴까요.
-글쎄요. 일단 최소한 내년 1분기까지는 금리인상이 유력한 만큼 현 시점에서 시장 정상화 시점을 점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미국 금융시장 전문 매체 마켓워치가 인용한 '뱅크오브아메리카(BoA)'의 주간 보고서에 따르면 "인플레이션이 약 3%로 정상 수준으로 회복하는 것은 2024년이 돼야 가능하다"는 내용이 있습니다.
-금리 인상 기조가 꺾이더라도 경제와 자산 시장이 곧바로 환호할지 미지수인 만큼 섣불리 주가 부양 기대감을 갖기보다는 차분히 기다리는 게 현명할 것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