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이민주 기자] 올해 집값 향뱡을 두고 정부와 민간의 시각이 엇갈린다. 정부가 최근 집값이 하향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고 강조하는 반면, 부동산 업계에서는 여전히 하락 국면을 예단하기는 이르다는 전망에 무게가 실린다.
20일 업계에 따르면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제37차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최근 부동산 가격이 하향 안정세로 속도를 내는 모습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추가 인상했고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도 조기 금리 인상을 시사하고 있어 향후 시장 여건 역시 부동산시장 하향 안정의 속도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도 역시 지난 3일 "집값이 잡히기 시작했다는 확신에 가까운 생각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 노형욱 국토교통부 장관은 지난 4일 "부동산 시장이 안정으로 가는 징후"라고 전한 바 있다.
이들은 '집값 하향세'에 대한 근거로 각종 부동산 지표를 제시한다. 대표적인 것이 아파트 실거래가지수 변동률, 매매수급지수 등이다.
최근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는 1년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한국부동산원이 지난 14일 발표한 지난해 11월 기준 '전국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격지수 변동률은 -0.15%다. 같은 기간 서울과 수도권의 실거래가지수 상승률 역시 각각 -0.79%, -0.27%를 기록했다. 특히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지수가 하락 전환한 것은 지난 2020년 4월 이후 처음이다. 실거래가지수는 실제 거래된 가격을 이전 거래와 비교해 지수화한 지표다.
아파트 경매 낙찰률도 꽁꽁 얼어붙었다. 법원경매 전문기업 지지옥션이 발표한 지난해 12월 경매동항보고서에 따르면 이 기간 전국 아파트 경매 진행 건수는 1245건으로 531건(42.7%)이 낙찰됐다. 낙찰률은 지난해 연중 최저치로 1~11월 전국 아파트 낙찰률은 50%대를 유지해왔다. 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인 '낙찰가율'도 전월(104.2%) 대비 3.6%p 낮은 100.6%를 기록했다.
서울 아파트 매매 시장에서는 9주 연속 매수자보다 매도자가 많은 '팔자' 상태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1월 둘째 주(10일) 서울 아파트 매매수급지수는 92로 전주 대비 0.8포인트 하락했다. 이는 지난 2019년 8월 26일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관련 수치는 지난 11월 셋째 주(15일) 이후 9주째 기준선을 밑돌고 있다. 매매수급지수는 수요와 공급 비중을 지수화한 수치로 기준선인 100 아래로 떨어지면 집을 팔겠다는 이들이 많아졌다는 뜻이다.
정부 주요 인사들이 관련 지표를 바탕으로 부동산 시장의 '하향 안정화'를 강조하는 발언을 내놓고 있지만, 민간에서는 여전히 집값이 하락세로 접어들었다고 보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올해도 여전히 입주 물량(공급)이 태부족하고, 임대차법 만료로 전세 시장까지 불안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집값 하락을 일으킬만한 요인이 없기 때문이다.
부동산 R114에 따르면 올해 민간분양 예정 물량은 41만8351가구다. 지난해에는 예정 물량의 72%가 실제 공급된 바 있다. 또 올해 하반기 임대차법 만료에 따라 전세 신규계약이 대거 쏟아질 것이어서 집값을 밀어 올릴 수 있는 대표 요인인 전셋값도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실제 주택산업연구원에서도 올해 집값이 2.5%, 전세 3.5% 오를 것으로 예상했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역시 올해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이 5%, 전세 4%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우리금융경영연구소와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올해 주택 매매가격이 각각 3.7%, 2% 오를 것이라고 예측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대출 규제도 강화되기 때문에 수요가 다소 줄어들 것으로 보이지만 올해 서울 아파트 입주 물량이 줄어들고, 전세가격 상승이 불가피한 점이 있다"며 "현재 집값 상승 요인과 하락 요인이 맞물려 있다"고 설명했다.
거래 절벽이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 부동산 통계 및 지표의 신뢰도를 떨어뜨린다는 지적도 나온다. 거래가 뜸한 가운데 간혹 나오는 사례가 지표를 출렁이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11월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1359건으로 지난 2008년 11월 1163건 이후 1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같은 기간 경기도 부동산 거래량도 전월 대비 40% 축소됐다.
업계 관계자는 "대출 규제에 더해 대선이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부동산 시장 내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며 "지금처럼 거래량이 너무 적으면 통계로 시장을 진단하기가 어렵다. 거래량이 적은 상황에서는 한 건의 거래로 급등락이 발생하기도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박원갑 KB국민은행 부동산수석전문위원은 "매도보다 관망이 늘어날 것"이라며 "대출 규제와 금리인상 부담, 집값 장기상승에 대한 피로감으로 매수를 꺼리는 분위기도 강해 당분간 거래절벽 현상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minju@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