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주인 찾는 중형 조선사, '수주 절벽'에 매각 작업 난항 겪나

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연구소에 따르면 한진중공업을 비롯해 HSG성동조선, 대한조선, 대선조선, 한국야나세, 연수중공업 등국내 중형 조선사들의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누적 수주액은 5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27.7% 감소했다. /더팩트 DB

대형사 몰린 '빈익빈 부익부'에 한숨…아직 매각 본계약 체결 없어

[더팩트ㅣ이한림 기자] 올해 코로나19 여파 등으로 인한 선박 발주량 급감에도 대형 조선사들이 연말 잇따른 수주 낭보를 전하는 반면, 중형 조선사는 여전히 수주 절벽에 시달리고 있다. 공교롭게도 이들 중에는 경영 정상화 작업을 위해 매각을 진행 중인 조선사도 있어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린다.

9일 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의 '중형조선사 2020년도 3분기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3분기 중형 조선사의 수주액은 총 2300억 원(2억 달러)에 그치고 있다. 올해 누적 집계 수주액은 약 5700억 원(5억1000만 달러)로 지난해보다 27.7% 가량 감소했다. 총 14척 수주, 수주량으로는 28만1000CGT에 불과하 수치다.

업계에서는 중형 조선사들이 한계에 봉착했다고 입을 모은다. 지난해 이미 일감이 바닥나 인적 구조조정을 단행하는 등 경영 악화에 시달린 것에 더해 올해에도 수주 실적이 좋지 않으면서 미래가 희망적이지 않다는 해석이다.

글로벌 경쟁 과잉에서도 이겨내지 못하고 있는 모습이다.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글로벌 발주량도 지난해보다 절반 가량 줄어든데다가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이나 초대형원유운반선(VLCC) 등 고부가가치 선종 수주는 국내에서 '빅3(한국조선해양·대우조선해양·삼성중공업)' 조선사가 독식하고 있고, 가격 경쟁을 해야하는 저가 선박은 중국 조선사가 쓸어담고 있는 양상이다.

중형 조선사 중 규모가 큰 편에 속하는 한진중공업, 대선조선, STX조선해양도 분위기가 비슷하다. 일감 부족으로 인한 경영 악화로 희망퇴직 신청을 이어가고 있고 대선조선의 경우 직원들의 임금을 100% 지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더군다나 이들 3개 조선사는 새 주인을 찾고 있는 조선사다. 3사는 매각 예비입찰을 진행하거나 매각 주관사를 선정 또는 인수합병을 위한 양해각서 체결을 진행하는 등 매각 작업은 순조로운 편이지만 구체적인 금액이나 경영 정상화 방안을 수립하는 본계약 체결까지 이어지진 곳은 없다. 이에 연말 선박 수주 실적 부진이 지속된다면 인수 대상자들의 구미를 당기지 못하거나 헐값에 매각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매각 절차를 밟고 있는 중형 조선사들이 매각을 통한 경영 정상화 작업을 이행하고 나섰지만 수주 부진이 이어지면서 난항을 겪고 있다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 사진은 올초 HSG중공업에 매각된 HSG성동조선(옛 성동조선해양)의 경남 통영 조선소의 모습. HSG성동조선은 매각 후 사업 다각화 등을 진행하면서 새로운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HSG성동조선 제공

반면 일각에서는 중형 조선사의 수주 부진과 매각 작업은 별개로 봐야한다는 시각도 있다. 올해 수주 부진은 기존에 예상됐던 발주 물량이 코로나19나 유가 등 영향으로 지연되면서 발생한 것이기 때문에 향후 수주 시장이 업사이클에 접어들면 해소될 문제라는 해석이다.

또한 매각이 완료된다면 자구적인 경영 정상화 이행 노력과 함께 인수사로부터 이어질 투자 등을 통해 새로운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지난해 3차 매각 본입찰까지 유찰됐다가 올초 가까스로 HSG중공업 컨소시엄에 매각된 HSG성동조선(옛 성동조선해양) 역시 수주 절벽에 봉착했던 조선사였으나 매각 후 선박 수리업에 뛰어드는 등 다방면으로 활로를 개척하면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조선업계 관계자는 "올해 발주 시장이 예년보다 저조한 가운데 최근 국내 조선사가 세계 수주 선박 시장 4개월 연속 수주 1위를 이어가면서 분전하고 있다. 다만 모두 대형사에 쏠린 물량으로 자체 자금 여력이 부족한 중형사들은 수주 부진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면서도 "매각 작업을 통해 새주인을 찾게되면 얘기가 달라질 여지는 있다. 경영 정상화를 위한 투자가 발생하도록 안전한 수주활동을 돕는 정책적인 금융 지원도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2kuns@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