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내년 연구개발 예산 1조7000억 원 편성
[더팩트|윤정원 기자] 정부가 바이오산업에 대한 민간투자 효율을 높이기 위한 구체적 지원 정책을 발표했다.
산업통상자원부·과학기술정보통신부·보건복지부는 18일 인천 송도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 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했다. 이날 정부에 따르면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셀트리온을 비롯한 바이오헬스 분야 주요 기업들은 2023년까지 10조 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할 예정으로 조사됐다.
분야별 투자계획 규모를 보면 의약품이 8조4000억 원으로 가장 많다. 이어 △벤처투자(1조4000억 원) △의료기기(5000억 원) △헬스케어(1800억 원) 순이다. 연평균 증가율은 △의약품 23.9% △의료기기 10.0% △벤처투자 9.2% △헬스케어 41.7%로 전망됐다. 이들 기업이 투자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할 경우 2023년까지 생산이 연평균 약 20% 늘고 약 9300명 규모의 신규 고용이 창출될 것으로 분석됐다.
이에 정부는 분야별 맞춤 전략을 마련했다. 우선 의약품은 업계의 가장 큰 요구였던 인력양성에 힘을 쏟는다. 올해 연세대 국제캠퍼스 내에 '바이오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해 2024년부터 개발·공정 인력을 연 2천명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R&D에서 인·허가, 생산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 단계별로 전문인력을 적기에 공급해 기업의 성장 기반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원부자재와 소형 장비 국산화를 위해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의약품 제조혁신센터'를 구축하고 AI, 3D 조직칩 등을 이용해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등 기업의 개발 리스크를 완화할 방침이다.
의료기기는 내수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자 병원과 기업의 공동 R&D 발굴·개발을 지원한다. K-방역 패키지(방역서비스-기기), 병원차(자동차-바이오헬스)와 같은 패키지형 수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미래 유망 분야에 대한 선제적 R&D 투자를 늘릴 방침이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100만 명의 유전체·임상정보 관련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가명처리 표준화 기술을 개발해 데이터 활용의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환자 안전과 진료 연속성을 위해 도입한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를 확산하는 등 바이오헬스 데이터 표준화에도 속도를 낸다.
이와 함께 △송도(바이오의약품) △원주(의료기기·헬스케어) △오송·대구(바이오헬스 첨단 인프라) 등 주요 클러스터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 생산시설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공용생산시설을 구축하는 한편, 바이오 사업화 전문가 그룹이 컨설팅을 제공하는 '바이오카라반'을 추진하는 등 지역 클러스터의 기능을 확충할 계획이다.
내년 바이오헬스 연구개발에는 올해보다 30%가 늘어난 1조7000억 원이 투입된다. 범부처 협력 연구에 쓰이는 자금은 올해 2900억 원 규모에서 내년 6400억 원으로 늘어난다.
관계부처들은 "개별 기업의 투자 성공이 산업 전반의 성장으로 연결돼 또 다른 투자 성공사례를 창출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한 지원자로서의 정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밝혔다.
garde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