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태원 SK 회장 "글로벌 불확실성, SV 추구 등 공동 행동 나서야"

최태원 회장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베이징포럼 2019에 참석해 글로벌 차원의 집단지성 발휘와 공동 행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SK그룹 제공

최태원 SK 회장, 베이징포럼서 '글로벌 연대' 강조

[더팩트 | 서재근 기자] 최태원 SK그룹 회장이 지정학적 불안정 심화와 급격한 과학기술 변화 등 글로벌 전반으로 확산하는 불안 요소를 해소하기 위한 실천 과제로 글로벌 차원의 공동 대응과 담대한 혁신을 제시했다.

3일 SK그룹 따르면, 최 회장은 지난 1일부터 사흘 동안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와 베이징대 등에서 열린 '베이징포럼 2019'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 올해 16회째인 베이징포럼은 SK그룹이 설립한 장학재단인 한국고등교육재단이 베이징대와 함께 주최하는 국제학술포럼이다. 최 회장은 재단 이사장 자격으로 포럼에 참석했다.

최 회장은 1일 댜오위타이에서 한 개막연설에서 오늘날 인류가 테러와 빈곤, 환경오염 같은 오랜 숙제들에 더해 '지정학적 불안정 심화'와 '급격한 과학 혁신 및 기술 변화'라는 새로운 양대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분석했다.

최 회장은 "미·중 무역 갈등을 비롯한 여러 지정학적 이슈들이 전례 없는 리스크를 만들고 있고, 특히 이러한 불안정이 세계 경제를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라며 "아울러 오늘날 소셜 미디어, 인공지능(AI), 머신 러닝 같은 첨단 기술들의 급속한 변화 역시 인류에게 새로운 고민거리들을 안겨주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이런 두 가지 도전은 경제에 혼란을 초래하고, 사회 안전과 세계 질서를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라며 글로벌 차원의 집단지성 발휘와 공동 행동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제시한 실천 과제의 시도 사례로 SK그룹이 추진해 온 사회적 가치 창출 성과와 사회적 가치 측정을 위한 노력을 소개했다. 그는 "SK가 지난해 280억 달러의 세전 이익을 얻는 동안 150억 달러 규모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했다. 이는 1달러를 버는 동안 53센트의 사회적 가치를 창출한 셈"이라며 "아직 측정 과정이 완벽하지 않고, 달러 당 53센트의 사회적 가치 창출이 충분하지 않지만 쉼없이 개선 노력을 기울여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최 회장은 또 "SK의 노력이 많은 기업과 펀드 등에 반향을 일으키고 있고, 사회적 가치 경영이 지속가능한 기업 성장의 토대가 된다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16회째인 베이징포럼은 SK그룹이 설립한 장학재단인 한국고등교육재단이 베이징대와 함께 주최하는 국제학술포럼으로 최태원 회장은 재단 이사장 자격으로 참석했다. /SK그룹 제공

이와 함께 SK가 이런 경영 흐름을 확장하고, 외부와 추진 방법 등을 공유하기 위해 바스프, 세계은행 등과 함께 'VBA'에 가입해 활동 중이라고 소개했다. 독일에 있는 비영리법인 VBA는 오는 022년까지 국제적으로 통용될 수 있는 사회적 가치 관련 회계 표준을 만들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를 통해 각국 기업에 사용을 권장할 예정이다.

SK는 중국에서도 국유자산감독관리위원회(국자위) 및 산하 국영기업 등과 손잡고 사회적 가치 창출 및 측정방법 공동개발 등을 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공기업 28개와 측정협의회를 구성해 공공기관 평가에 반영되는 사회적가치 항목의 지표와 기준을 표준화하는 작업 중에 있다.

이항수 SK그룹 PR팀장은 "이번 베이징포럼은 인류가 풀어야 할 난제들에 대한 해법을 모색하는 뜻깊은 자리였다"며 "SK는 지속가능한 사회와 공동의 행복을 만들기 위해 국내외 이해관계자들과 계속 협력해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편, 베이징포럼은 출범 첫해인 2004년, 34개국 600여 명이 모여 266개 논문을 발표한 것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4500여 개 세부 세션에서 발표한 논문만 4000편이 넘는다. 고(故) 조지 H.W 부시 전 미국 대통령, 토니 블레어 전 영국 총리 등 글로벌 리더들과 노벨상 수상자인 로버트 먼델 미 컬럼비아대 교수 등 세계적 석학들이 이 포럼에서 인류 공동 번영을 위한 해법을 모색했다.

올해는 '문명의 화해와 공동번영: 변화하는 세계와 인류의 미래'라는 주제 아래 거버넌스, 문명 간 대화, 여권 신장, 국제 질서 재편, 디지털 시대의 휴머니티, 환경위생 등 13개의 세부 포럼이 이어졌다.

likehyo85@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