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까프·케이스위스 등 보유한 국내1호 신발기업 '화승' 기업회생 신청

르까프, 케이스위스, 머렐을 보유한 중견업체 화승이 기업회생 신청을 신청해 600여 개의 대리점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사진은 르카프 광고 사진이며 광고 모델 유연석이다. /화승 홈페이지 캡처

'화승' 역사 속으로 사라질까…600여 대리점도 피해 우려

[더팩트|이진하 기자] 국내 1호 신발기업이자 르까프·케이스위스·머렐 등 스포츠 브랜드를 보유한 패션 기업 화승이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로써 600여 대리점도 피해가 우려되고 있다.

7일 업계에 따르면 화승은 지난달 31일 서울 회생 법원에 회생절차를 신청했다. 법원은 다음날인 지난 1일에 포괄적 금지명령을 내렸다. 포괄적 금지명령은 법원이 회생절차 개시를 결정할 때까지 채권 추심 등을 막는 조치다.

화승 측은 "부채 때문에 유동성 확보가 어려운 상황에서 채무 조정을 통해 기업을 정상화하기 위한 불가피한 조치"라고 설명했다.

화승은 르까프와 케이스위스, 머렐 등 3개 스포츠·아웃도어 브랜드를 생산, 유통하는 회사다. 1953년 '기차표 고무신'을 생산한 동양고무공업을 모태로 한다.

현재 전국에 르까프 매장 280곳, 케이스위스와 머렐 매장을 각각 160여 곳 운영하고 있어 대리점에도 피해가 우려되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화승 측은 "기업회생 신청으로 대리점 등에 지급해야 할 대금이 묶이게 돼 이들 업체 피해를 줄이기 위해 이 부분부터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화승 제조 공장은 대부분 베트남과 중국에 있고 원부자재도 주로 현지에 있기 때문에 국내 중소 납품업체 피해는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화승 측은 설명했다.

화승이 급격하게 성장한 것은 1978년 나이키 신발을 주문자생산방식(OEM)으로 생산하면서부터다. 회사는 나이키 신발 생산 이후 자신감을 얻고 1980년 사명을 화승으로 교체했다.

이후 1983년 교복 자율화로 내수시장이 확대되자 화승은 날개를 달았다. 1986년 나이키와 제휴를 종료했지만 자체 브랜드 '르까프'를 성공적으로 론칭하면서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았다.

1980년대 중반부터 1990년 중반까지 브랜드 전성기를 맞았던 화승은 국내를 넘어 수출 실적도 좋았다. 르까프의 활약으로 1990년에는 수출 5억불탑 및 금탑산업훈장을 수훈하기도 했다.

1998년 IMF 외환위기 충격으로 부도가 나면서 한 차례 위기를 맞기도 했다. 그러나 2005년 화의(파산을 예방할 목적으로 채무 정리에 관해 채권자와 채무자 사이에 맺는 강제 계약)에서 벗어나며 위기를 극복하기도 했다.

이후 아웃도어 열풍으로 사업이 본 궤도에 올라섰으나 2010년대 중반 아웃도어 열풍이 식고, 주력 브랜드인 르까프가 나이키, 아디다스 등 해외 메가히트 브랜드와 경쟁에서 밀리며 사세가 기울었다.

2015년 화승그룹에서 분리되어 나온 화승은 현재 산업은행과 KTB PE(사모펀드)가 주도하는 사모투자합자회사가 지분 100%를 보유하고 있다.

한편, 화승이 기업회생절차를 신청하면서 납품업체 대표들은 지난 6일 긴급 채권단 회의를 열었다. 크고 작은 업체들이 받을 돈을 합하면 1000억 원 수준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jh311@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