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현장] "정부, '대진침대 사태' 피해자 등록·원스톱 체계 구축해야"

한국YWCA연합회 등 시민단체는 30일 서울 중구 한국YWCA연합회 2층 강당에서 라돈 침대 사태와 시민안전 긴급 좌담회를 진행했다. /고은결 기자

한국YWCA연합회 긴급 좌담회…40여 명의 대진침대 피해자들 발걸음

[더팩트|고은결 기자] 1급 발암물질인 라돈이 다량 검출된 대진침대 사건을 두고 시민단체들은 정부가 소비자의 문제를 '원스톱 체계'로 해결에 나서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국YWCA연합회 등 시민단체는 30일 한국YWCA연합회 2층 강당에서 긴급 좌담회를 열고 "국무조정실에 범정부대응체계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지만 소비자의 대책이나 환불 등에 대한 소비자 문제는 간과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정부가 제조사인 대진침대에게 회수 책임을 지우고 소비자들은 무작정 기다리게 하는 처사는 소비자 피해 구제에 소극적이라는 지적이다. 이날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정부에 ▲단시일 내에 대진침대 제품 회수를 위한 지원대책 마련 ▲침대 회수 후 피해 보상 기준안 마련 등을 요구했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와 11개 회원단체는 대진침대 사건에 대한 정부와 공정거래위원회,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관련 부처의 대응에 대한 모니터링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따르면 지난 4일부터 17일까지 대진침대 관련 상담 전화는 1518건에 달한다. 소비자들은 대진침대와 원안위 등 부서와는 소통이 어려워 1372 소비자상담센터에 각종 문의를 한다는 설명이다.

◆전문가들 "방사능 물질 강력 규제·취약계층의 우선적 피해자 등록 필요"

이날 좌담회에서는 정부가 모나자이트 관련 수입·판매·유통 전반에 대한 대책을 외면하며, 피해자 건강조사 및 추적 관리에 대한 대책이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모나자이트는 라돈 검출의 원인이 되는 광물이다. 음이온 건강제품에 주로 활용되며, 일반 광물에 비해 약 2000배 높은 방사능 농도를 가졌다.

발표자로 나선 김혜정 시민방사능감시센터 운영위원장은 "국내의 연간 모나자이트 수입량은 200톤으로 추정된다"면서 "일부 소규모 사업장을 운영하는 사업체에서는 원료물질 사용량, 재고량 등에 관한 이력 등을 특별 관리하지 않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토르마린, 모나자이트 등 70여 종의 천연방사성핵종이 인체 내로 직업 유입될 수 있으며, 붕괴 시 인체는 내부피폭을 받는다"면서 "방사능 오염 범위를 라돈 피폭만으로 축소하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 사이에서는 정부가 라돈 침대 피해자의 건강조사와 추적관리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고은결 기자

그는 이어 "음이온 제품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토르마린, 일나이트 등을 관리 대상에서 제외했다. 관련 부처는 모나자이트 등 천연핵종의 생활제품 사용에 대한 특허·인증 등 근본적 계획이 없다"고 꼬집었다. 특히 모나자이트 사용 제한 및 천연방사성물질 성분표시 의무화도 '추진'이 아닌 '검토'하겠다고 밝히는데 끝났다는 설명이다.

라돈침대 피해자의 건강조사와 추적관리에 대한 대책이 부재하다는 점도 강조됐다. 그는 "천연방사성물질 이용과 관련해 생산 및 수입·인허가·판매에 대한 강력한 규제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날 좌담회에서는 라돈에 더욱 취약한 계층의 사용자들의 피해 구제를 서두르는 것은 물론, 제품을 만든 공장 노동자 및 해체 작업자 등의 건강 관리도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윤근 노동환경건강연구소 소장은 "어린이, 여성, 흡연자 등 사용자는 우선적으로 피해자 등록을 해야 한다"면서 "라돈 검출 제품과 관련된 노동자 집단 문제도 생각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들 "참담함 넘어 분노…잠재적 피해자도 구제해야"

이날 좌담회에는 그동안 진행된 대진침대 관련 간담회 중 가장 많은 수준인 40여 명의 피해자가 발걸음 했다. 소비자들도 정부가 보다 적극적이고 구체적인 대응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본인이 대진침대 피해자라고 밝힌 한 남성은 "참담을 넘어서 분노를 느낀다. 국민들은 대진침대를 안방의 세월호로 보고 있는데 각 부처는 왜 움직이지 않느냐"며 울분을 토했다.

수 년 간 온가족이 대진침대를 사용해왔으며, 자녀가 백혈병으로 사망했다고 밝힌 또 다른 참석자는 "보다 저렴한 가격 때문에 대진침대를 구입한게 후회될 뿐"이라며 "(고농도 라돈이 검출된)제품을 사용해온 피해자들을 등록하는 것은 물론 잠재적 피해자도 빠르게 구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대진침대 피해자 온·오프라인 통합모임의 대표자 자격으로 이날 좌담회에 참석한 이민석 씨는 "원안위의 문제 해결 의지에 의문이 든다. 대진침대가 아닌 정부 주도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씨는 이어 "피해자 등록은 물론 피해자들의 행동 가이드라인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keg@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