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성락 기자]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발화 원인은 결국 배터리 자체 결함으로 밝혀졌다. 삼성SDI와 중국 ATL이 개발한 배터리 설계 문제와 제조상의 불량 공정이 복합적으로 작용, 발화까지 이어진 것으로 판명됐다. 그러나 회사는 배터리 제조사에 책임을 묻기보단, 똑같은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안전성을 크게 높인 재발 방지 대책을 마련하는 것으로 방향을 잡았다.
삼성전자는 23일 오전 서울 서초구 삼성 서초사옥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제품 20만대와 배터리 3만개로 진행한 대규모 충·방전 시험에서 소손 현상을 재현했다"며 "'갤럭시노트7'에 채용된 A배터리와 B배터리에서 각기 다른 원인으로 소손 현상이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측에서 말한 A배터리는 삼성SDI의 배터리, B배터리는 ATL의 배터리다. 삼성전자는 이날 이들 업체의 이름을 언급하지 않은 채 조사 결과 설명을 진행했다. 발표를 맡은 고동진 삼성전자 무선사업부장(사장)은 "배터리 설계 및 제조 공정상의 문제점을 '갤럭시노트7' 출시 전에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제대로 검증하지 못한 것에 대해 책임을 통감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전자의 설명을 종합하면 삼성SDI 배터리는 '우측상단 눌림 현상', '얇은 분리막'이 발화를 유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ATL 배터리의 경우 내부의 비정상적인 융착돌기로 인한 절연 테이프와 분리막 파손이 주요 원인으로 파악됐다.
삼성전자는 삼성SDI와 ATL에 대해 법적 책임을 묻지 않겠다고 밝혔다. 고 사장은 "배터리 결함이 원인이라는 자체 조사 결과를 외부 기관에서도 인증을 받았고 배터리 제조사들도 이를 인정했다"면서도 "'갤럭시노트7' 단종으로 인한 손실을 고려하면 굉장히 힘든 시기였지만, 배터리 제조사들에게 법적 책임을 묻는 것은 옳지 않다고 본다"고 말했다.
고 사장은 이어 "플래그십 모델에는 약 1000개 정도의 부품이 들어가는데 이 부품들을 세트 제조사로서 공급을 받으려고 하면 약 450개의 1차 협력사가 우리와 일하게 된다"며 "배터리 제조사들은 우리의 협력사다. 다른 제품군과 다른 모델에서도 함께 일을 하고 있는 만큼 저희가 최종적으로 책임을 져야 하는 제조사로서 안전성이나 품질 측면에서 검증을 제대로 하지 못한 포괄적인 책임을 통감한다"고 덧붙였다.
'갤럭시노트7' 발화에 책임이 있는 삼성SDI 측은 이날 자료를 통해 "배터리 이슈를 전화위복의 기회로 활용하겠다"고 밝혔다. 삼성SDI는 지난해 9월 2일 '갤럭시노트7' 리콜 발표 직후, 천안사업장에 비상상황실을 꾸리고 '제품 안전성 혁신 TF'를 설치했다. TF는 개발, 제조·기술, 품질·검증 등 3개 분과에 임직원 100여 명을 투입한 역대 최대 규모다.
조남성 삼성SDI 사장은 "우리는 지금 회사 운명의 갈림길에 서 있다"며 "모두 함께 모여 극복해 환골탈태할지 아니면 역사의 뒤안길로 스러져 갈지 우리의 각오에 달려있다"고 말했다. 이어 "제품 안전성을 최우선으로 하는 업무 관행을 정착시켜 우리의 새로운 DNA로 각인시키자"며 "올해 핵심 경영 키워드를 '제품 안전성'으로 뽑고 이를 기업문화로 심어 나갈 방침"이라고 강조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발화 원인과 함께 향후 재발 방지 대책을 발표했다. 소손 원인을 개선하고 '8포인트 배터리 안전성 검사'와 '다중 안전장치'를 도입해 배터리 안전성을 대폭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또 핵심 부품을 전담하는 '부품 전문팀'을 구성할 예정이다.
삼성전자가 밝힌 8가지 프로세스는 안전성 검사, 배터리 외관 검사, X레이 검사, 배터리 해체 검사, 누액(TVOC) 검사, 상온의 전압 변화 측정 검사, 충·방전 검사, 사용자 조건 가속 시험 등이다.
학계와 연구기관의 전문가들로 자문단도 구성했다. 제품의 안전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장치를 마련한다는 생각이다. 삼성전자는 클레어 그레이 캠브리지대학교 교수, 거브랜드 시더 버클리대학교 교수, 이 추이 미국 스탠퍼드대학교 교수, 아마즈 테크컨설팅 최고경영자(CEO)인 토루 아마즈쓰미 박사 등을 자문위원으로 위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