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현장] 신세계, ‘대구 신세계’로 대구 ‘랜드마크’ 세우다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의 니즈가 강하게 반영된 ‘시코르(CHICOR)’가 대구 신세계 1층에 입점해 있다. 시코르는 글로벌 뷰티 편집숍으로, 직매입한 글로벌 코스메틱은 물론 최신 메이크업 트렌드 제품도 만날 수 있다. /대구=황원영 기자

[더팩트│대구=황원영 기자] 추위가 한결 누그러진 13일 대구광역시 ‘동대구 복합환승센터’에 때아닌 대형 놀이동산이 펼쳐졌다.

신세계 그룹의 ‘6대 프로젝트’ 결정판인 ‘대구 신세계’ 9층에 위치한 어두컴컴한 아쿠아리움 입구를 지나자 조명을 받아 반짝거리는 해파리들의 쇼가 시작됐다. 취재진은 한결같이 “우와”하고 탄성을 내뱉었다. 약 5300㎡(1600평) 규모의 아쿠아리움에서 4개 층을 내려가니 루이비통, 구찌, 디올, 페레가모, 보테가베네타, 생로랑 등 명품숍이 즐비한 전혀 다른 풍경이 펼쳐졌다.

지하 1층은 ‘전통시장’이다. 대구 유명 반찬가게 ‘진가네’, 방천시장에서 3대째 운영하는 ‘대봉동 로라방앗간’ 등 130여개가 넘는 지역 가게가 들어서 있다. 8층에 올라서니 이국적인 분위기의 식당가 루앙스트리트가 펼쳐졌다. 마치 영화 ‘화양연화’ 속 거리를 그대로 재현해놓은 것 같은 느낌이었다.

대구 신세계 9층에는 백화점 최초로 초대형 아쿠아리움이 들어섰다. 아쿠아리움은 관람동선만 약 800미터(m)로 애운대 씨라이프와 비교했을 때 약 80m 더 길다.

신세계백화점이 국내 최초 민자 복합환승센터인 동대구 복합환승센터 안에 자사 유통 DNA를 총집결한 ‘대구 신세계’를 이날 대대적으로 프리 오픈했다.

대구시와 국토부까지 손잡은 초대형 프로젝트로, 규모(영업면적 10만3000㎡)도 메머드급이다.

투자비는 신세계백화점 단일점포 사상 최대치인 8800억 원이다. 신세계는 2020년 기준 복합환승센터 이용 고객이 일 평균 15만명 정도 될 것으로 보고, 대구 신세계를 대구ㆍ경북 지역은 물론 수도권ㆍ충청도 등 전국 관광객을 대상으로 한 대표 백화점으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대구 신세계는 주차장을 제외하고 총 10개 층으로 꾸려져 있다. 한 개층 면적이 최대 5000평으로 강남점 한개층 면적의 2.5배다.

대구 신세계는 지난 2월 강남점 증축을 시작으로 부산 센텀시티몰 증축(3월), 시내면세점(5월), 김해점 개점(6월), 하남점 개점(9월) 등 ‘신세계 대형 6대 프로젝트’의 방점으로 다양한 ‘최초’ 타이틀을 획득했다.

먼저 최상단부에 백화점 최초로 초대형 아쿠아리움이 들어섰다. 대구지역에 처음으로 들어선 아쿠아리움인 만큼 8만명에 이르는 소비자가 오픈 전 사전 판매한 연간 회원권을 구입했다. 또한, 옥상 테마파크 ‘주라지(ZOORAJI)’와 거인의 방 콘셉트의 실내 테마파크가 함께 들어섰고고, 파미에타운(B관)에는 스포츠 테마파크 ‘트램폴린 파크’가 자리 잡았다.

국내 최대 크기인 22미터(m) 초 고화질 LED 미디어 타워에서 흘러나오는 미디어아트는 그 규모만큼 어디에서나 눈에 띄었다. 감각적인 컬러와 영상은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오르는 시간마저 ‘즐거움’으로 느낄 수 있도록 만들었다.

정유경 신세계 백화점부문 총괄사장은 대구 신세계에 각별한 애정을 쏟은 것으로 알려졌다. /더팩트DB

정유경 신세계 총괄사장의 니즈가 강하게 반영된 ‘시코르(CHICOR)’도 대구 신세계의 핫스팟으로 자리 잡았다. 시코르는 글로벌 뷰티 편집숍으로, 직매입한 글로벌 코스메틱은 물론 최신 메이크업 트렌드 제품도 만날 수 있다. 특히 자유롭게 메이크업, 스킨케어, 헤어 제품을 테스트해볼 수 있는 ‘뷰티 스테이지’가 눈에 들어왔다. 실제 정 총괄사장은 몇 차례 대구로 내려와 각종 콘텐츠를 점검하며 의견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900석 규모의 영화관 ‘메가박스’, 전문 공연장 시설을 능가하는 600석 규모의 ‘문화홀’, 1300여개 국내 최대 강좌가 준비된 ‘신세계아카데미’, ‘갤러리’ 등 소비자들의 발길을 끌 다양한 문화시설도 준비했다.

범삼성가인 신세계는 이같은 인프라를 바탕으로 삼성 발원지인 대구에서 다시 한번 도약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신세계백화점은 1973년 삼성 계열사로서 대구에 백화점을 오픈한 바 있다. 당시 대구백화점과 동아백화점 등 지역 백화점에 대한 시민들의 충성도가 높아 4년 만에 문을 닫았다.

신세계백화점 대표이사이자 동대구복합환승센터 대표이사인 장재영 사장은 “43년만에 다시 대구와 인연을 맺게 됐다. ‘대구의, 대구에 의한, 대구 신세계’를 만들 것”이라며 “대구 신세계는 개발단계부터 대구 지역 발전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프로젝트다”고 강조했다.

13일 대구 신세계 문화홀에서 장재영 신세계 대표이사(오른쪽)과 김봉수 대구 신세계 점장이 질의응답 시간을 갖고 있다.

실제 신세계는 대구 지역 민심과 공공시설인 복합환승센터와 함께 운영하는 점 등을 고려해 대구 신세계를 지역 현지법인으로 내세웠다. 지역 현지법인 설립을 통해 직접 고용인원만 5000명, 간접 고용 효과까지 합하면 1만8000여 개의 일자리 창출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 중 95%가 지역민으로 구성돼 있다. 대구 신세계의 지분 60%는 신세계가 보유하고 있으며, GIC(싱가폴투자청)과 삼양사가 각각 35%, 5%씩 갖고 있다.

장 사장은 “현재 대구 지역에 있는 6개 백화점에서 나오는 연매출은 1조6000억 원이다. 여기에 대구 신세계가 오픈하면서 약 2조 원으로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즉, 광역 상권 활성화로 대구시 전체의 소비가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이다.

또한 그는 “대구 신세계는 신세계그룹의 유통 노하우를 총집약시킨 복합쇼핑 문화공간이며, 복합환승센터의 이점을 십분 활용 전국ㆍ전연령대의 고객들이 찾는 대구ㆍ경북 지역 대표 랜드마크로 육성해 지역경제 발전을 이끌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hmax875@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