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과·식품업계, '동서식품 경계 증후군' 비상

최근 일부 제과·식품업체에서 위생사고가 발생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고조되는 있다. 이에 따라 업계는 먹거리 안전 확보를 위한 방안 마련에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신진환 기자

[더팩트 ㅣ 신진환 기자] 올가을, 제과·식품업계가 어느 때보다 바짝 긴장하면서 비상대기에 들어섰다. 생산 라인 위생시설 점검은 물론 고객센터 소비자 불만사항도 하나하나 짚어보면서 잔뜩 몸을 도사리고 있다고 업계 관계자들은 입을 모은다.

국내 유수 식품업계 한 고위 임원은 "최소한 국정감사가 끝나는 오는 27일까지 주요 제과·식품업계 생산담당 책임자와 대관 업무등 커뮤니케이션 책임자들은 자리를 비울 수 없다는 게 업계 사정이다"고 귀띔했다.

크라운제과에 이어 동서식품에서 발발한 위생안전사고의 불똥이 어디로 튀고, 또 어느 기업이 유사한 사례가 터질지 모른다는 위기감 때문이라고 한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소비자들 질타를 받고 있는 해당 기업은 물론 여타 기업들도 근래 무엇보다도 생산 라인 위생점검 강화에 시간을 들이고 있다. 평상시 위생점검 주기를 동서식품 사태가 터진 후에는 더 단축하고 한편으로는 내부 직원 및 하청기업 단속에도 열중이라는 후문이다. 이와 함께 소비자 불만사항이 접수되면 가능한 조기에 해결하도록 업무지침을 재차 하달한 기업도 있다.

국감이 끝날 때까지 현장 및 홍보 담당 임원들은 주말 휴일도 반납하고 '만약의 사태'에 대기하고 있다고 한다.

A사 모 임원은 " 과자 등 어린이들이 즐겨 찾는 먹거리에 대해 우리 국민들 관심도가 매우 큰 상황에서 어느 기업이든지 다시 위생안전사고가 터지면 모든 비판의 눈길이 그 기업으로 쏠리게 될 것"이라며 "때문에 동서식품 다음의 타자(위생사고 기업)로 걸리지 않기 위해 사실상 24시간 비상체제를 유지하고 있다"고 현 업계 분위기를 드러냈다.

B사의 대외담당 임원은 "사실 국내 관련 업계의 위생관리 기준은 국제표준에 비춰볼 때 썩 나은 것은 아니다"라며 "식품 당국이 마음먹고 검사·감시에 나서면 상당수 기업이 곤욕을 치를 소지가 많다"고 경계했다. 이 임원은 이어 "특히 국감시즌에 한 건을 터트리고 싶은 정치인들이 없지 않아 이 대목에 무척 신경을 쓰고 있다"고 토로했다.

때문에 대부분 관련 기업들이 위생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방안 마련에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유아 제품 및 음료 브랜드인 남양유업 측은 "위생점검 강화 정도는 보안사안이라 밝힐 수는 없지만 주변 업체 사고를 계기로 위생관리에 더욱 신경을 쓰고 있다"고 조심스럽게 말했다.

익명을 요구한 모 기업 관계자는 "불량식품이 현 정부가 내세운 '4대악'중 하나이기에 일각에서는 이번 정부의 단속에 걸린다면 그 피해가 막심할 것이라는 소문이 나돈다"며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몸을 바짝 낮추고 대관업무 강화 등 주변 눈치를 보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크라운제과는 2009년 3월부터 올해 8월 초까지 '유기농 웨하스' '유기농 초코 웨하스'등 2개 제품에서 자가품질검사 결과 기준치 이상의 미생물과 식중독균이 검출됐지만 이를 보건 당국에 보고하지 않은 채 시가 31억 원어치를 폐기하지 않고 팔아온 것으로 파악됐다.

동서식품 역시 시리얼 제품 자체 품질검사에서 대장균군(대장균과 비슷한 세균 집합)을 확인하고도 곧바로 폐기하지 않고 대장균이 검출된 제품을 새 제품과 섞어 완제품을 만든 뒤 시중에 유통한 게 적발됐다.

동서식품은 '시리얼 대장균'파문이 인지 사흘만인 지난 16일 '고객 여러분께 심려를 끼쳐드려 사과한다'는 사과문을 발표했으나 소비자들 일각에서는 동서식품 불매운동이 전개되는 등 기업이미지가 실추됐다.

yaho1017@tf.cco.kr
비즈포커스 bizfocus@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