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팡, 무료배송 기준 금액 ‘기습 인상’에 소비자 불만 쇄도

쿠팡이 로켓배송 무료배숑 기준가를 9800원에서 1만9800원으로 2배 이상 올렸다. /쿠팡 홈페이지 캡처
쿠팡이 로켓배송 무료배숑 기준가를 9800원에서 1만9800원으로 2배 이상 올렸다. /쿠팡 홈페이지 캡처

[더팩트│황원영 기자] 소설커머스업체 쿠팡이 ‘로켓배송’ 무료배송 기준가를 돌연 9800원에서 1만9800원으로 두 배 가까이 인상했다. 소비자 불만이 쇄도하는 가운데 업계는 적자 부담 등으로 쿠팡이 비용 줄이기에 나선 것 아니냐는 분석을 내놨다.

쿠팡은 11일 오전 9시 30분부터 별도의 공지 없이 로켓배송 가능 최소 주문액을 1만9800원으로 올렸다. 쿠팡이 기준가를 인상한 것은 지난 2014년 3월 로켓배송을 도입한 지 2년7개월만이다.

이에 대해 소비자들은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 소비자는 “어제 사려다가 미뤄둔 1만7000원짜리 제품을 오늘 사려고 봤더니 배송비를 별도로 내라고 한다”라며 “따로 공지도 없었다”고 불만을 털어놨다.

또 다른 소비자 역시 “무료배송 혜택에 로켓배송을 많이 애용해왔는데 갑자기 예고도 없이 기준 가격이 올라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이에 대해 쿠팡은 “로켓배송의 효율성을 올리기 위한 인상”이라고 밝혔다. 즉, 배송 기준 가격이 올라간 대신 질 좋은 로켓배송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소비자들은 쿠팡이 아무런 사전 공지 없이 갑작스럽게 최소 주문액을 올린 데 대해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쿠팡은 배송 기준 인상에 대한 아무런 공지를 하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소비자들은 “왜 기준 가격 인상에 대한 고지를 하지 않는 것인지 알 수 없다”, “습관대로 바로구매를 눌렀다가 배송비가 붙는 걸 보고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쿠팡의 로켓배송 기준 상향이 자체 배송 서비스에 따른 누적 적자를 해소하기 위한 고육책이 아니냐는 해석을 내놓고 있다. 쿠팡, 위메프, 티몬 등 소셜커머스는 지난해 8300억 원의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이중 쿠팡의 지난해 영업손실은 5470억 원이다. 이 중 물류센터와 로켓배송(직접배송) 등 배송부문에 대한 선제적 투자비용이 적자의 약 89%를 차지하고 있다.

hmax875@tf.co.kr

Copyright@더팩트(tf.co.kr) All right reserved.